부처별 뉴스
-
북한 추모 분위기 확산…주민들은 일상 유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소식이 전해진지 오늘로 나흘째 접어들었는데요, 북한 현지 모습은 어떤지 사망 이후의 정황을 취재 기자와 함께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송보명 기자, 어서오세요.
북한에 추모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고 들었는데요, 어떻습니까?
네, 김정일 위원장 사망 발표 나흘째를 맞은 북한은 추모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주요 도시 곳곳에 초...
-
정부, 민간차원 '대북 조전 발송' 허용
정부가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과 관련해 민간차원의 대북 조전발송을 허용했습니다.
하지만 조문단 방북은 기존의 정부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김현아 기자입니다.
정부가 민간차원의 대북 조전발송을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최보선 통일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민간단체나 개인의 조의문 발송에 대해서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허용하겠다는 것이 정부 입장이라고...
-
김정일 시신 영구보존 가능성 크다
김정일 국방위원장 시신은 아버지 김일성처럼 미라 상태로 영구보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보도에 김유영 기자입니다.
금수산기념궁전에 안치된 김정일 위원장.
평소 즐겨 입던 인민복을 입은 김 위원장의 시신은 아버지 김일성 주석처럼 방부처리돼 영구보존 될 가능성이 큽니다.
전문가들은 만약 그렇게 된다면 북한이 우상화를 통한 체제 결속과 김 위원장의 사망 과...
-
김정은, '첫 명령' 하달…사실상 군권 장악
김정일 위원장 사망 발표 전에 김정은이 북한군에게 첫 명령을 내린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미 권력이 김정은에게 승계됐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례로 해석됩니다.
이해림 기자입니다.
김정일 국방위원 사망 발표 전 김정은이 북한 인민군에게 첫 명령을 내렸던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전군에 훈련을 중지하고 즉각 소속부대로 복귀하라"는 내용으로, '김정은 대장...
-
새로운 권력 '김정은'은 누구인가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이후 후계자로 지목된 아들 김정은에게 전 세계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어린시절의 모습이 거의 알려지지 않은 김정은은 어떤 사람일까요.
팽재용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올해 나이 29살로 알려진 김정일의 셋째 아들이자 막내아들인 김정은.
김정일의 세번째 부인 고영희의 아들로 알려져 있으며, 배다른 맏형 김정남과 형 김정철이 권...
-
북한 추모 분위기 확산…주민들은 일상 유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소식이 전해진지 오늘로 나흘째 접어들었는데요, 북한 현지 모습은 어떤지 사망 이후의 정황을 취재 기자와 함께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송보명 기자, 어서오세요.
북한에 추모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고 들었는데요, 어떻습니까?
네, 김정일 위원장 사망 발표 나흘째를 맞은 북한은 추모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주요 도시 곳곳에 초...
-
정부, 민간차원 '대북 조전 발송' 허용
정부가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과 관련해 민간차원의 대북 조전발송을 허용했습니다.
하지만 조문단 방북은 기존의 정부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김현아 기자입니다.
정부가 민간차원의 대북 조전발송을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최보선 통일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민간단체나 개인의 조의문 발송에 대해서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허용하겠다는 것이 정부 입장이라고...
-
김정일 시신 영구보존 가능성 크다
김정일 국방위원장 시신은 아버지 김일성처럼 미라 상태로 영구보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보도에 김유영 기자입니다.
금수산기념궁전에 안치된 김정일 위원장.
평소 즐겨 입던 인민복을 입은 김 위원장의 시신은 아버지 김일성 주석처럼 방부처리돼 영구보존 될 가능성이 큽니다.
전문가들은 만약 그렇게 된다면 북한이 우상화를 통한 체제 결속과 김 위원장의 사망 과...
-
北 "이희호·현정은 육로방북 수용"
북한이 이희호 여사와 현정은 회장의 조문 방북을 수용했습니다.
이 방북단에는 정부 당국자도 동행할 예정이어서, 남북간 대화채널이 형성될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김현아 기자입니다.
북한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에 대한 이희호 여사와 현정은 현대그룹 회장의 조문 방북을 수용하겠다는 의사를 표시했습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측이 판문점 적십자 채널을...
-
노동신문, '유훈' 첫 언급···'김정은 통치 시작'
<!--{13246024410310}-->북한의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이 '유훈'이라는 단어를 사용해 김정은 통치의 정당성을 강조했습니다.
사실상 김정은 통치체제가 시작됐음을 알리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박성욱 기자입니다.
"김정일 동지의 유훈을 지켜 주체혁명, 선군혁명의 길을 꿋꿋이 걸어나가야 한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2일자 사설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