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최저임금 결정구조 개편 논의 노사 첫 대면
유용화 앵커>
최저임금위원회가 올해 첫 전원회의를 개최했습니다.
신경은 앵커>
'최저임금 결정 구조'개편을 놓고 상반된 입장을 보였던 노사가 처음 만난 것입니다.
홍진우 기자입니다.
홍진우 기자>
최저임금위원회 제1차 전원회의
(장소: 서울 종로구 S타워)
노·사·공익 위원들이 내년도 최저임금 논의를 시작하기엔 이른 연초부터 ...
-
'밀린 임금' 지원 소액체당금, 재직자도 받는다
김용민 앵커>
어제 열린 국정현안점검회의에서는 임금체불 청산제도 개편이 논의됐는데요, 어떤 내용인지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이혜진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이혜진 기자>
밀린 임금을 받지 못한 노동자의 생계 보장을 위해 나라에서 주는 소액체당금.
지금까지 퇴직자에게만 지원됐지만, 앞으로는 재직자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재직자 중...
-
최저임금 결정구조 개편 논의 노사 첫 대면
김용민 앵커>
최저임금위원회가 올해 첫 전원회의를 개최했습니다.
정부의 최저임금 결정구조 개편안을 놓고 상반된 입장을 보여온 노사가 처음 만난 자리인데요.
홍진우 기자입니다.
홍진우 기자>
최저임금위원회 제1차 전원회의
(장소: 서울 종로구 S타워)
노·사·공익 위원들이 내년도 최저임금 논의를 시작하기엔 이른 연초부터 한 자리에 앉...
-
'밀린 임금' 지원 소액체당금, 재직자도 받는다
임소형 앵커>
앞서 전해드린대로 어제 국정현안점검조정회의에서는 임금체불 청산 제도도 논의됐는데요.
자세한 소식, 이혜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이혜진 기자>
밀린 임금을 받지 못한 노동자의 생계 보장을 위해 나라에서 주는 소액체당금.
지금까지 퇴직자에게만 지원됐지만, 앞으로는 재직자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재직자 중에서도 소득이 낮은 노동...
-
'밀린 임금' 지원 소액체당금, 재직자도 받는다
임보라 앵커>
국정현안점검회의에서 임금체불 청산제도 개편이 논의됐다는 소식, 앞서 전해드렸는데요.
어떤 내용인지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이혜진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이혜진 기자>
밀린 임금을 받지 못한 노동자의 생계 보장을 위해 나라에서 주는 소액체당금.
지금까지 퇴직자에게만 지원됐지만, 앞으로는 재직자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
고용노동부 멘토링과 함께하는 사회적기업 '공공공간'
김용민 앵커>
이번 순서는 <스마트폰 현장을 가다>입니다.
서울 창신동 봉제거리 골목에 가면 고용노동부 멘토링사업과 함께하는 사회적 기업이 마련되어 있는데요, 공간의 공을 숫자 0으로 비워놓고, 공감과 공유, 공생을 위한 디자인을 채워나가는 그 현장 지금 만나보시죠
네, 자투리 원단 사용으로 폐기물 문제까지 해결 하는 사회적 가치와 스토리를 담고...
-
'밀린 임금' 지원 소액체당금, 재직자도 받는다
김용민 앵커>
국정현안점검회의에서 임금체불 청산제도 개편이 논의됐다는 소식, 앞서 전해드렸는데요.
어떤 내용인지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이혜진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이혜진 기자>
밀린 임금을 받지 못한 노동자의 생계 보장을 위해 나라에서 주는 소액체당금.
지금까지 퇴직자에게만 지원됐지만, 앞으로는 재직자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
기업인과의 대화···"일자리 창출·투자 앞장서 달라"
임소형 앵커>
문재인 대통령이 어제 청와대에서 대기업과 중견기업인들을 만났습니다.
문 대통령은 기업들이 고용과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박성욱 기자입니다.
박성욱 기자>
2019 기업인과의 대화
(장소: 청와대 영빈관)
기업인과의 격의 없는 대화를 통해 경제활력을 제고하기 위한 자리.
문 대통령은 고용과 투자가...
-
기업인과의 대화···"일자리 창출·투자 앞장서 달라"
임보라 앵커>
새해 경제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이 대기업과 중견기업인 130여명을 만났습니다.
문 대통령은 좋은 일자리가 우리 경제 최대 당면 과제라며 고용과 투자에 기업들이 적극 나서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박성욱 기자입니다.
박성욱 기자>
2019 기업인과의 대화
(장소: 청와대 영빈관)
기업인과의 격의 없는 대화를 통해...
-
낚시어선 안전실태 조사 결과 [e 브리핑]
낚시어선 안전실태 조사 결과 (한국소비자원 1.8)
미세먼지 대응 건강보호 지침서 (고용노동부 1.7)
국가전문자격증 대여 행위 처벌 강화 (국민권익위원회 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