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각종 휴가에 건강 관리까지···중소기업도 '워라밸'
김용민 앵커>
주당 최대 노동시간을 52시간으로 제한하는 노동시간 단축이 지난 7월, 300인 이상 사업장부터 시행됐습니다.
일과 삶의 균형을 뜻하는 '워라밸'을 꿈꾸는 직장인들도 적지 않지만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쉽지만은 않은데요.
워라밸을 실천하고 있는 우수 중소기업을 찾아가 봤습니다.
홍진우 기자입니다.
홍진우 기자>
게임 개발 공...
-
추석 대비 체불임금 지원과 예방대책은?
임보라 앵커>
추석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즐거운 명절이지만 이맘때면 체불임금으로 힘들어하시는 분들이 계실텐데요.
이와 관련해 정부의 지원과 예방책에 대해 스튜디오에 나와 계신 고용노동부 김경민 근로기준정책과 사무관과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연: 김경민 / 고용노동부 근로기준정책과 사무관)
임보라 앵커>
올해까지 임금을 제대로 받...
-
예초기 사고 급증···보호 장비 착용하세요!
임소형 앵커>
벌초를 하는 이맘때면 예초기 사고가 크게 늘어납니다.
사고 10건 가운데 4건은 9월에 발생한다고 하는데요.
예방법을 박천영 기자가 알려드립니다.
박천영 기자>
1. 예초기 사고 9월 집중···보호 장비 꼭 착용하세요!
최근 5년간 발생한 예초기 사고는 572건.
이 가운데 추석을 앞두고 벌초로 인해 사용이 많아지는 9...
-
예초기 사고 급증···보호 장비 착용하세요!
유용화 앵커>
벌초를 하는 이맘때면 예초기로 인한 사고가 크게 증가합니다.
예초기 사고 10건 중 4건은 9월에 발생한다고 하는데요.
박천영 기자가 예방법을 알려드립니다.
박천영 기자>
1. 예초기 사고 9월 집중···보호 장비 꼭 착용하세요!
최근 5년간 발생한 예초기 사고는 572건.
이 가운데 추석을 앞두고 벌초로 인해 사용이 ...
-
5060 신중년 일자리, 내년 2만개 만든다
임보라 앵커>
부모 부양하랴, 자식들 돌보랴, 늘 바쁘게 사느라 정작 자신들 노후 준비는 못한 50~60대가 절반에 이른다고 합니다.
이에 대비하여 정부가 내년에 2만개 이상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라고 하는데요.
자세한 내용, 김경선 고용노동부 고령사회인력정책관과 함께 이야기 나눠 보겠습니다.
(출연: 김경선 / 고용노동부 고령사회인력정책관)...
-
내년 예산 470조 원···일자리·복지 강화
◇ 김현아 앵커>
정부가 내년 나라 살림을 꾸릴 예산안 규모를 발표했습니다.
위축된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 일자리와 경제 활력 예산을 대폭 확대했는데요.
신국진 기자, 내년 예산 규모가 470조 원에 달한다고요.
◆ 신국진 기자>
네, 정부가 확정한 내년도 예산안은 총 470조 원 규모입니다.
올해보다는 약 9.7% 늘어났는데요.
증가 폭...
-
5060 취업↑···신중년 고용장려금 지원 확대
임소형 앵커>
정부가 신중년으로 불리는 5060 세대의 재취업을 적극적으로 돕기로 했습니다,
고용장려금 지원 확대 등을 통해, 일자리 2만개 이상을 새로 만든다는 계획입니다.
곽동화 기자입니다.
곽동화 기자>
50세를 전후로 퇴직해 재취업 등을 하며 노동시장 은퇴를 준비하는 과도기 세대를 신중년, '5060 세대'라고 합니다.
지난해 기준 1...
-
5060 취업↑···신중년 고용장려금 지원 확대
신경은 앵커>
'신중년' 이라고 들어보셨습니까?
퇴직 후 재취업을 준비하는 과도기 세대를 뜻하는 말인데요.
정부가 '신중년' 세대의 일자리를 늘리기로 했습니다.
곽동화 기자입니다.
곽동화 기자>
50세를 전후로 퇴직해 재취업 등을 하며 노동시장 은퇴를 준비하는 과도기 세대를 신중년, '5060 세대'라고 합니다.
지난해 기준 1천378만여 ...
-
상반기 제조·수입 화학물질 공표···노동자 보호조치 필요
임소형 앵커>
고용노동부는 올해 상반기 국내에서 제조하거나 수입한 화학물질의 명칭과 유해성, 노동자 건강장해 예방을 위해 필요한 조치 등을 공표했다고 밝혔습니다.
공표 대상 화학물질은 모두 2백 종으로 이 가운데 '2-브로모아닐린'을 포함한 예순두 종은 급성 독성과 생식 독성, 피부 부식성 등 유해성과 위험성이 확인됐습니다.
고용노동부는 이들 화학물질...
-
상반기 제조·수입 화학물질 공표···노동자 보호조치 필요
임보라 앵커>
고용노동부는 올해 상반기 국내에서 제조하거나 수입한 화학물질의 명칭과 유해성, 노동자 건강장해 예방을 위해 필요한 조치 등을 공표했다고 밝혔습니다.
공표 대상 화학물질은 모두 200종으로 이 가운데 '2-브로모아닐린'을 포함한 62종은 급성 독성, 생식 독성, 피부 부식성 등 유해성과 위험성이 확인됐습니다.
노동부는 이 화학물질들을 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