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저녁 있는 삶 기대
15조8천억 원 규모의 내년도 정부연구개발사업 예산안을 확정했습니다.
연구자중심 기초연구와 혁신성장에 집중 투자하는데요.
문재인 정부의 과학기술 분야 국정 철학이 반영됐습니다.
곽동화 기자입니다.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가 15조 8천억 원 규모의 내년도 R&D 예산안을 확정했습니다.
연구자중심 기초연구 확대와 혁신 성장, 국민의 삶의 질 ...
-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저녁 있는 삶 기대
어제부터 노동시간 주 52시간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됐습니다.
우리 삶에 적지 않은 변화가 예상되는데요.
박지선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노동시간 '주 52시간' 시대가 활짝 열렸습니다.
법정근로시간은 1일 8시간, 1주 40시간입니다.
여기에 연장근로 최대 12시간을 더해 주 52시간을 넘으면 안됩니다.
적용 대상은 상시 노동자 300인 ...
-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저녁 있는 삶 기대
오늘부터 노동시간 주 52시간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됩니다.
우리 삶에 적지 않은 변화가 예상되는데요.
박지선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노동시간 '주 52시간' 시대가 활짝 열렸습니다.
법정근로시간은 1일 8시간, 1주 40시간입니다.
여기에 연장근로 최대 12시간을 더해 주 52시간을 넘으면 안됩니다.
적용 대상은 상시 노동자 300인 ...
-
다음 주부터 노동시간 52시간으로 단축
바로 다음 주죠.
일주일간 최대 노동시간이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그동안 정부는 지원대책 발표, 계도기간 마련 등 현장 안착을 위해 노력해왔는데요.
취재기자와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홍진우 기자, 먼저 개정 근로 기준법에 대해 짚어봐야할 것 같은데요.
노동시간 단축이 주요 내용이죠?
기자> 네, 잘 아...
-
최저임금위, 다음 주 최저임금 심의 집중 논의
최저임금위원회 전원회의가 노동계가 불참한 가운데 열렸습니다.
위원회는 대화에 복귀한 한국노총이 다음 주 회의에 참석할 것을 기대한다며,
다음 주부터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를 집중 논의하기로 했습니다.
김유영 기자입니다.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률을 정할 법정시한이 어제까지였지만, 노동계를 대표하는 노동자위원 9명 전원은 결국 제8차 전원회...
-
최저임금위, 다음 주 최저임금 심의 집중 논의
최저임금위원회 전원회의가 노동계가 불참한 가운데 열렸습니다.
위원회는 대화에 복귀한 한국노총이 다음 주 회의에 참석할 것을 기대한다며, 다음 주부터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를 집중 논의하기로 했습니다.
김유영 기자입니다.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률을 정할 법정시한이 오늘까지지만, 노동계를 대표하는 노동자위원 9명 전원은 결국 제8차 전원회의에...
-
내 삶을 바꾸는 '워라벨'이란? [한 눈에 보이는 정책]
계속해서 이슈를 알기 쉽고 깊이 있게 들여 다 보는 <한 눈에 보이는 정책> 순서입니다.
일과 삶의 균형을 말하는 신조어죠.
Work and life balance, 1970년대 영국에서 처음 쓰이기 시작했고, 이렇게‘워라밸’, 세 글자의 우리말로 자리잡았습니다.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멕시코에 이어서 두 번째로 길게 일합니다.
그러는 사이, ...
-
노동시간 단축 안착에 행정력 '집중'
노동시간 단축 시행을 앞두고 기업들의 준비는 아직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정부는 다양한 지원으로 현장 안착을 앞당기고 유연근로시간제 정착을 위한 지원에도 나섭니다.
홍진우 기자입니다.
다음 달부터 300인 이상 기업과 공공기관 3천6백여 곳이 주 52시간으로 노동시간을 단축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업장이 주 52시간 적용에 혼란을 겪고 있...
-
김동연 부총리 "단속보다 제도 정착 주력"
노동시간 주 52시간 시행이 닷새 앞으로 다가왔습니다.
김동연 경제부총리가 이와 관련해 6개월 계도기간을 설정해 단속보다 제도 정착에 주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김용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정부가 김동연 경제부총리 주재로 경제현안간담회를 열고 노동시간 단축과 최저임금 산입 등 노동이슈에 대해 논의했습니다.
김 부총리는 단속보다는 제도 정착에 주력하고...
-
노동시간 단축 안착에 행정력 '집중'
기업들의 노동시간 단축 시행 준비는 아직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정부는 다양한 준비 지원으로 현장 안착을 앞당기고 유연근로시간제 정착을 위한 지원에도 나섭니다.
홍진우 기자입니다.
다음 달부터 300인 이상 기업과 공공기관 3천6백여 곳이 주 52시간으로 노동시간을 단축합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업장이 주 52시간 적용에 혼란을 겪고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