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75세 이상 고용률, 5년째 OECD 1위
한국의 노년 고용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 최상위권을 꾸준히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75세 이상 초 고령층 인구의 고용률은 5년 연속 1위에 올랐습니다.
OECD에 따르면 2015년 기준 한국의 75세 이상 고용률은 17.9%로 비교 가능한 OECD 25개 회원국 가운데 1위였습니다.
-
대한민국 산업 역군 '여성 근로자' [열정 대한민국]
과거 우리 국민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었던 순간들을 돌아보는 시간 <열정 대한민국>입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수출액은 4,955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주로 반도체와 자동차, 전기 장비, 금속제품 등이 수출됐는데요.
산업화가 본격화됐던 60년대엔 가발과 신발, 섬유 제품 등 경공업 제품이 수출 주력 품목 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생산현장에서 견인차 역할...
-
대한민국 산업 역군 '여성 근로자' [열정 대한민국]
과거 우리 국민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었던 순간들을 돌아보는 시간, <열정 대한민국>입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수출액은 4,955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주로 반도체와 자동차, 전기 장비, 금속제품 등이 수출됐는데요.
산업화가 본격화됐던 60년대엔 가발과 신발, 섬유 제품 등 경공업 제품이 수출 주력 품목 이었습니다.
그리고 그 생산현장에서 견인차...
-
둘째 육아휴직 아빠 '석 달 동안 최대 600만 원'
오는 7월 이후에 둘째 아이가 태어날 예정에 있는 아빠라면, 주목하셔야겠습니다.
석 달 동안 최대 60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는데요.
정지예 기자가 자세히 알려드립니다.
지난해 7월부터 육아 휴직을 내고 두 아이를 돌보는 박성진 씨.
인터뷰> 박성진/ 육아휴직자(세종특별자치시 고운동)
"같이 시간을 많이 보냄으로써 많이 친해지고 있고 여행...
-
10년 후 대한민국 미래 일자리를 찾다 '2017 한국직업전망' [라이브 이슈]
한국고용정보원이 195개 대표 직업의 10년간 일자리 전망을 수록한 '2017 한국직업전망'을 발간했습니다.
미래 일자리 7대 변화 트렌드를 제시하고 청소년과 구직자들의 직업-진로를 탐색하는데 도움을 줄 2017 한국직업전망! 변화하는 기술과 환경변화에 대응할 미래형 직업의 세계를 살펴봅니다.
한국고용정보원 김동규 미래직업연구팀장과 함께 합니다.
...
-
무역장벽 대응할 중소기업 전문가 양성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고용노동부와 함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표준·기술규제 대응 전문인력 양성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중소기업의 경우 나라별 기술규제와 시험·인증에 대한 전문지식이 부족해 최근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높아지고 있는 무역장벽에 대응하기 어렵다는 판단에 따라 정부가 중소기업 내 전문인력 양성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훈련과정은...
-
4차 산업혁명시대 새로운 일자리 창출 전략은? [집중분석]
김초희MC>
4차 산업혁명의 격변을 맞아 일자리에 대한 새로운 정의와 새로운 접근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하경MC>
앞으로 우리 일자리에는 어떠한 변화가 생길까요?
서울 스튜디오에 나와있는 주형철 서울산업진흥원 대표와 이야기 나눠 봅니다.
-
고려인 강제이주 80년…고국에 뿌리내리고 싶어요
앵커멘트 >
러시아 연해주로 떠났던 고려인들이 중앙아시아 곳곳으로 강제 이주된 지도 어느덧 80년이 됐습니다.
오랜 세월이 흘렀지만 이들의 삶은 여전히 힘들기만 한데요.
고국에 돌아온 후손들도 언어와 법적 문제 등으로 삶이 편치만은 않습니다.
여환수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사내용]
3년 전 우즈베키스탄에서 온 고려인 3세 알렉산더 씨.
...
-
함께 다함께, 새 희망으로 '장애인의 날' [똑똑한 정책뉴스]
앵커>
똑똑한 정책뉴스입니다.
오늘은 서른일곱 번째를 맞는 '장애인의 날'입니다.
보건복지에 등록돼 있는 장애인은 전체 인구 대비 5%!
이 가운데 선천적 장애는 고작 10% 뿐이고, 나머지는 사고나 질병으로 인한 장애입니다.
그 만큼 누구나 얘기치 않은 사고로 장애를 가질 수 있다는 건데요,
그렇다면 장애인들이 자립해서 살아가기 위해...
-
함께 다함께, 새 희망으로 '장애인의 날' [똑똑한 정책뉴스]
앵커>
똑똑한 정책뉴스입니다.
오늘은 서른일곱 번째를 맞는 '장애인의 날'입니다.
보건복지에 등록돼 있는 장애인은 전체 인구 대비 5%!
이 가운데 선천적 장애는 고작 10% 뿐이고, 나머지는 사고나 질병으로 인한 장애입니다.
그 만큼 누구나 얘기치 않은 사고로 장애를 가질 수 있다는 건데요,
그렇다면 장애인들이 자립해서 살아가기 위해 꼭 필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