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지난해 취업자 33만 명 증가···여성·고령층 주도
임보라 앵커>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가 33만 명 가까이 늘었습니다.여성과 고령층이 전체 취업자 수 증가를 이끌었는데요.자세한 소식은 이혜진 기자가 전하겠습니다.이혜진 기자>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는 2천841만여 명.2022년보다 32만7천 명, 1.2% 늘었습니다.연간 취업자 수는 코로나 19가 확산한 2020년 22만 명 가까이 줄었다가, 2021년부터 ...
-
반값으로 자격증 준비하는 방법! [돈이 보이는 VCR]
반값으로 자격증 준비하는 방법!출연: 김동욱 / 고용노동부 직업능력평가과장
-
체불생계비 융자 상환 연장···5천700명 혜택
이혜진 기자>지난해 11월 기준 임금체불액은 1조 6천218억 원.1년 전 같은 기간보다 33%나 늘었습니다.이 가운데 두 번 이상 반복된 임금 체불이 80%를 차지하고 있고, 피해자 수만 22만 명 이상입니다.이런 임금체불은 취약계층 주거비용 연체나 신용불량의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무엇보다 중요한 건 일한 대가를 받지 못한 근로자들이 생계를 이어...
-
"임신·출산·육아로 폐업한 자영업자 실업급여 신청 가능"
최다희 기자>경동시장에 위치한 청년몰에서 제과점을 운영하고 있는 이지은 씨.가게를 연 지 5년이 지났지만 아직 자영업자 고용보험에 가입하지 못 했습니다.인터뷰> 이지은 / 제과점 운영자"(고용보험을) 계속 들어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1인 창업자다 보니까 너무 바쁜 나머지 안 들고 있긴 하거든요."자영업자의 생계 불안을 돕고, 재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
-
"임신·출산·육아로 폐업한 자영업자 실업급여 신청 가능" [정책현장+]
모지안 앵커>자영업자들의 고용보험 가입률이 아직도 많이 낮은 편인데, 문제는 제도 자체를 잘 모르고 있다는 점입니다.국민권익위원회가 안내 강화 방안 마련과 아울러, 자영업자의 실업급여 혜택을 명문화하도록 권고했습니다.최다희 기자입니다.최다희 기자>경동시장에 위치한 청년몰에서 제과점을 운영하고 있는 이지은 씨.가게를 연 지 5년이 지났지만 아직 자영업자 고용...
-
건설근로자 권익 보호를 위해 전자카드제 전면 확대 시행
-모든 퇴직공제 가입대상 (공공 1억원, 민간 50억원 이상) 건설공사에 적용-변차연 기자>올해부터 소규모 건설현장까지 '전자카드제'가 적용돼, 더 많은 건설근로자들의 권익이 보호될 것으로 기대됩니다.'건설근로자 전자카드제'는 공사 현장에 전자카드 단말기를 설치해 출퇴근 내역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제도입니다.2020년 11월부터 대규모 건설현장부터 단계별로...
-
건설근로자 권익 보호를 위해 전자카드제 전면 확대 시행
-모든 퇴직공제 가입대상 (공공 1억원, 민간 50억원 이상) 건설공사에 적용-변차연 기자>올해부터 소규모 건설현장까지 '전자카드제'가 적용돼, 더 많은 건설근로자들의 권익이 보호될 것으로 기대됩니다.'건설근로자 전자카드제'는 공사 현장에 전자카드 단말기를 설치해 출퇴근 내역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제도입니다.2020년 11월부터 대규모 건설현장부터 단계별로...
-
'60억 원 규모' 산재 부정수급 적발···2배 징수·고발
김용민 앵커>위장 사고로 보험금을 타내는 사람들을 속칭 '나이롱 환자'라고 하죠.이번에 이런 산업재해보험 부정수급 사례 100여 건이 적발됐습니다.강민지 앵커>부정수급액의 총 규모가 60억 원이 넘는데요.정부가 발표한 산재보험 특정감사 중간 결과를, 이혜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이혜진 기자>오토바이 배달 중 넘어지는 사고로 산업재해 보험금 1천만 원을 수령한...
-
'60억 원 규모' 산재 부정수급 적발···2배 징수·고발
최대환 앵커>위장 사고로 보험금을 타내는 사람들을 속칭 '나이롱 환자'라고 하죠.이번에 이런 산업재해보험 부정수급 사례 100여 건이 적발됐습니다.녹취> 이정식 / 고용노동부 장관"감사 기간을 이달 말까지 1개월 연장하고 역대 최대 규모의 감사인력을 투입했습니다."부정수급액의 총 규모가 60억 원이 넘는데요.정부가 발표한 산재보험 특정감사 중간 결과를, 이...
-
'60억 원 규모' 산재 부정수급 적발···2배 징수·고발
최대환 앵커>위장 사고로 보험금을 타내는 사람들을 속칭 '나이롱 환자'라고 하죠.이번에 이런 산업재해보험 부정수급 사례 100여 건이 적발됐습니다.녹취> 이정식 / 고용노동부 장관 "감사 기간을 이달 말까지 1개월 연장하고 역대 최대 규모의 감사인력을 투입했습니다."부정수급액의 총 규모가 60억 원이 넘는데요.정부가 발표한 산재보험 특정감사 중간 결과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