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내년 최저임금 9천860원···2.5% 인상
김용민 앵커>내년 최저임금이 올해보다 2.5% 오른 시간당 9천860원으로 결정됐습니다.윤세라 앵커>최저임금위원회 표결 결과 경영계가 제시한 최종 요구안이 채택됐습니다.김현지 기자입니다.김현지 기자>어제 오후부터 진행된 내년 최저임금 논의는 노사가 간극을 좁히지 못하며 오늘 새벽까지 이어졌습니다.노동계는 최종 수정안으로 올해보다 약 4% 오른 1만 원을, ...
-
끊이지 않는 추락사고, ‘갱폼 선 해체’ 관행 때문? [정책 바로보기]
김용민 앵커>지난 6일 충북 청주의 한 아파트 신축공사 현장에서 베트남 국적의 이주 노동자 2명이 25층 높이에서 떨어져 숨졌습니다.현장에서는 공기 단축을 위한 '갱폼 선 해체' 관행 때문이라는 지적이 있습니다.관련 내용 고용노동부 건설산재예방정책과 박승현 주무관 연결해 들어보겠습니다.안녕하세요.(출연: 박승현 / 고용노동부 건설산재예방정책과 주무관)김용민...
-
최저임금 이르면 오늘 결정···1만 원 넘길지 주목
윤세라 앵커>내년 최저임금이 이르면 오늘 결정됩니다.최저임금위원회는 오늘 오후 3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제13차 전원회의를 열고 논의를 이어갑니다.근로자위원들과 사용자위원들은 오늘 5차 수정 요구안을 제시할 예정입니다.앞선 4차 수정 요구안에선 노동계는 시간당 1만1천140원, 경영계는 9천740원을 제시한 바 있습니다.
-
"민주노총 정치파업 중단해야···불법에는 무관용"
송나영 앵커>민주노총이 지난 3일부터 총파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다음 주에는 주요 산별노조의 릴레이 파업도 예정돼 있는데요.고용노동부는 긴급 노사관계 점검회의를 열고, 정치파업의 중단을 촉구했습니다.김찬규 기자가 보도합니다.김찬규 기자>민주노총이 지난 3일부터 최저임금 인상, 노조법 2·3조 개정 등을 목표로 내걸고 닷새째 총파업을 이어가고 있는 상황.긴급...
-
2023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관계부처 합동 브리핑
2023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관계부처 합동 브리핑추경호 /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장소: 정부서울청사 브리핑룸)
-
민주노총 총파업···"불법파업 중단해야"
최대환 앵커>민주노총이 2주에 걸쳐 전국적인 총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정부가 여섯개 경제단체와 긴급 간담회를 열었습니다.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번 총파업을 교섭 절차를 무시한 불법 파업으로 규정하고, 중단을 촉구했습니다.김현지 기자가 보도합니다.김현지 기자>민주노총이 오는 15일까지 2주 동안 총파업에 돌입합니다.택배기사 등 특수고용노동자 파업을 시...
-
민주노총 총파업···"불법파업 중단해야"
최대환 앵커>민주노총이 2주에 걸쳐 전국적인 총파업에 돌입한 가운데, 정부가 여섯개 경제단체와 긴급 간담회를 열었습니다.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이번 총파업을 교섭 절차를 무시한 불법 파업으로 규정하고, 중단을 촉구했습니다.김현지 기자가 보도합니다.김현지 기자>민주노총이 오는 15일까지 2주 동안 총파업에 돌입합니다.택배기사 등 특수고용노동자 파업을 시...
-
노동계, 내년 최저임금 1만2천210원 요구
송나영 앵커>노동계가 내년도 최저임금 최초 요구안으로 시간당 1만 2천 210원을 제시했습니다.최저임금위원회 근로자위원들은 22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제7차 전원회의에 앞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 금액을 최초 요구안으로 최저임금위원회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이는 올해 최저임금보다 26.9% 인상된 금액입니다.한편, 사용자위원 측은 최저임금의 업...
-
고용부 장관 "이중구조 해결 핵심, 노사 자발적인 상생·협력"
송나영 앵커>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이 "노동시장 이중구조를 해결하는 핵심은 노사의 자발적인 상생과 협력에 있다"고 밝혔습니다.이 장관은 상생임금위원회와 노동의 미래 포럼 합동 간담회에 참석해 기업은 이중구조를 개선하기 위한 협력을 강화하고, 노조는 상생과 연대의 정신으로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그러면서 양대노총에게 중소기업과 하청근로자들에...
-
노조 회계 결산 매년 공시해야 세액공제 가능
김용민 앵커>정부가 노동개혁 중점 과제인 노조 회계 투명성을 높이는 데 속도를 내고 있는데요.앞으로 노조 회계를 공시하지 않는 노조는 조합비 세액공제를 받을 수 없게 됩니다.김현지 기자의 보도입니다.김현지 기자>정부는 국민 세금이 지원되는 노조 회계가 투명하게 운영돼야 한다고 강조해왔습니다.이를 위해 고용노동부는 노동조합법 시행령과 소득세법 시행령 개정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