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우리나라 노동정책, 글로벌 스탠더드와 반대로 가고 있다? [정책 바로보기]
김용민 앵커>정부가 노동조합 회계 투명성 강화를 위한 회계자료 제출을 요구하고, 화물연대 파업에 대한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한 것이 국제법 위반이라는 지적이 나온 가운데, 정부의 조치가 국제노동기구 협약에 기반한 게 맞는지 고용노동부 국제협력담당관 정해영 과장 연결해서 자세한 내용, 얘기 나눠보겠습니다.과장님, 안녕하세요.(출연: 정해영 / 고용노동부 국제협...
-
2023년 플랫폼종사자 일터개선 지원사업 1차 공모 선정 결과 발표
-2023년부터 지방자치단체까지 지원 대상 확대-임보라 기자>애플리케이션 등을 매개로 일감을 얻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종사자, 별도의 휴게공간 없이 취약한 여건에서 근무하는 경우가 많은데요.이들의 노무 환경 개선을 돕는 '2023년 플랫폼종사자 일터개선 지원 사업' 공모 결과, 15개의 지자체와 1개의 민간기업이 선정됐습니다.특히 충남은 천안에 배달노...
-
2023년 플랫폼종사자 일터개선 지원사업 1차 공모 선정 결과 발표
-2023년부터 지방자치단체까지 지원 대상 확대-임보라 기자>애플리케이션 등을 매개로 일감을 얻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종사자, 별도의 휴게공간 없이 취약한 여건에서 근무하는 경우가 많은데요.이들의 노무 환경 개선을 돕는 '2023년 플랫폼종사자 일터개선 지원 사업' 공모 결과, 15개의 지자체와 1개의 민간기업이 선정됐습니다.특히 충남은 천안에 배달노...
-
올해 고용 둔화 전망···6대 업종 빈 일자리 해소
최대환 앵커>올해 고용시장에서 취업자 수가 둔화될 거라는 전망이 나오는데요.정부가 빈 일자리 해소 방안과 조선업 구인난을 해결하기 위한 지원사업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김용민 기자의 보도입니다.김용민 기자>지난해 고용시장은 코로나19 이후 일상회복 과정에서 이례적으로 좋았습니다.하지만 올해에는 상황이 다릅니다.취업자 증가 수가 10만 명 내외로 상당폭 둔화될...
-
주 최대 69시간 근무 가능···근로시간 제도 개편
김용민 앵커>정부가 현행 근로시간 제도의 개편을 추진합니다.주52시간제를 유연화해 근로자가 바쁠 땐 최대 69시간까지 일할 수 있게 하는데요.김현지 기자입니다.김현지 기자>정부는 주52시간제가 날로 다양화·고도화되는 산업 현장 수요를 담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했습니다.'주' 단위 상한 규제에 집중된 제도 탓에 근로자의 건강권과 휴식권 논의도 진전되지 못했다고...
-
주 최대 69시간 근무 가능···근로시간 제도 개편
최대환 앵커>정부가 근로시간 제도의 개편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주 52시간제를 유연하게 바꿔서, 필요할 때, 그러니까 근로자가 바쁠 땐 최대 69시간까지 일할 수 있게 됩니다.김현지 기자입니다.김현지 기자>정부는 주52시간제가 날로 다양화·고도화되는 산업 현장 수요를 담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했습니다.'주' 단위 상한 규제에 집중된 제도 탓에 근로자의 건강권...
-
근로시간 선택권 확대···감독역량 집중 [뉴스의 맥]
최대환 앵커>앞서 근로시간 제도를 개편한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취재기자와 함께 보다 자세한 얘기를 나눠보겠습니다.이혜진 기자, 우선 정부는 이번 제도 개편의 필요성이 어디에 있다고 보고 있나요?이혜진 기자>네, 정부는 현행 주 단위 상한 규제는 근로시간이 곧 성과가 되는 공장제 생산방식이라고 봤는데요.이런 방식의 규제가 근로시간 양을 줄이는 데는 기여했지...
-
고령층 계속고용장려금 지원 2배 확대 [정책인터뷰]
박수민 앵커>일에 숙련된 고령층의 경험은 미래 성장 동력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요.정부는 고령층 고용을 적극 유도하기 위해 올해 기업에 대한 계속고용장려금 지원을 두 배 이상 늘리기로 했습니다.정책인터뷰, 김세진 국민기자가 고용노동부 관계자를 만나 알아봤습니다.◇ 김세진 국민기자>정부가 올해 대폭 확대한 계속고용장려금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저는 지금 고용노동...
-
주 최대 69시간 근무 가능···근로시간 제도 개편
최대환 앵커>정부가 근로시간 제도의 개편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주 52시간제를 유연하게 바꿔서 필요할 때, 그러니까 근로자가 바쁠 땐 최대 69시간까지 일할 수 있게 됩니다.김현지 기자입니다.김현지 기자>정부는 주52시간제가 날로 다양화·고도화되는 산업 현장 수요를 담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했습니다.'주' 단위 상한 규제에 집중된 제도 탓에 근로자의 건강권과...
-
근로시간 선택권 확대···감독역량 집중 [뉴스의 맥]
최대환 앵커>앞서 근로시간 제도를 개편한다는 소식 전해드렸는데요.송나영 앵커>취재기자와 함께 보다 자세한 얘기를 나눠보겠습니다.최대환 앵커>이혜진 기자, 우선 정부는 이번 제도 개편의 필요성이 어디에 있다고 보고 있나요?이혜진 기자>네, 정부는 현행 주 단위 상한 규제는 근로시간이 곧 성과가 되는 공장제 생산방식이라고 봤는데요.이런 방식의 규제가 근로시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