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계속고용' 사회적 논의 착수···올해 말 로드맵 마련
윤세라 앵커>
정부가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정년 후 계속고용을 위한 사회적 논의에 착수하기로 했습니다.
임금체계 개편과 연계한 '계속고용 로드맵'을 올해 말까지 마련할 계획인데요.
김현지 기자입니다.
김현지 기자>
고용노동부가 2023년 제1차 고용정책심의회를 열고 향후 정부의 일자리 정책 방향을 논의했습니다.
먼저 교육과 건강 수준 향...
-
체감도·파급력 큰 규제혁신 추진
-지난해 176개 과제 발굴, 101개 완료 (완료율 57.4%)-
임보라 기자>
고용노동부 규제혁신 특별반이 발족 이후, 산업안전·직업훈련 등에서 176개의 규제혁신 과제를 발굴하고 101개 과제를 완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해는 노동시장 개혁과제·산업안전규제를 중점 개선하고, 고용노동법상 과도하거나 과소한 형벌 규정을 개선할 예정인데요.
...
-
'계속고용' 사회적 논의 착수···올해 말 로드맵 마련
임보라 앵커>
정부가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정년 후 계속고용을 위한 사회적논의에 착수하기로 했습니다.
임금체계 개편과 연계한 계속고용 로드맵을 올해 말까지 마련할 계획인데요.
김현지 기자입니다.
김현지 기자>
(2023년 제1차 고용정책심의회 개최)
고용노동부가 2023년 제1차 고용정책심의회를 열고 향후 정부의 일자리 정책 방향을 논...
-
중대재해처벌법 1년···상반기 개선안 마련
최유선 앵커>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지 1년이 다 됐지만 법의 실효성에 대한 의견이 분분합니다.
정부는 상반기 안에 중대재해처벌법령 개선안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김현지 기자의 보도입니다.
김현지 기자>
노동자 사고 발생 시 사업주 책임을 강화하는 중대재해처벌법.
사업주가 안전보건확보 의무를 위반해 중대산업재해가 발생하면 처벌받는다는 것이 골...
-
중대재해처벌법 1년···상반기 개선안 마련
송나영 앵커>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지 1년이 다 됐지만 법의 실효성에 대한 의견이 분분합니다.
정부는 상반기 안에 중대재해처벌법령 개선안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김현지 기자의 보도입니다.
김현지 기자>
노동자 사고 발생 시 사업주 책임을 강화하는 중대재해처벌법.
사업주가 안전보건확보 의무를 위반해 중대산업재해가 발생하면 처벌받는다는 것이 골...
-
올해 청년 8만 명 이상 일경험 기회 제공
김용민 앵커>
정부가 올해 8만 명 이상 청년에게 일경험 기회를 제공합니다.
고용노동부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청년 고용서비스 혁신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민간부문 일경험을 위한 청년 일경험 지원사업과 공공기관 일경험 기회 등을 확대하고, 중앙행정기관 인턴을 신설하는 내용 등이 포함됐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이러한 민간·공공 분야 일경험 기회를 꾸준히...
-
'온라인 노사 부조리 신고센터'···"불법·부당행위 근절"
윤세라 앵커>
고용노동부가 26일부터 노사 불법· 부당행위를 근절하기 위한 온라인 신고센터를 운영합니다.
노사 폭력이나 채용 강요 등이 신고 대상이며, 중대한 법령 위반 행위는 사법 조치할 방침입니다.
김현지 기자입니다.
김현지 기자>
고용노동부는 올해를 노동개혁의 원년으로 삼고 역량을 집중할 방침입니다.
녹취> 이정식 / 고용노동부 장관...
-
2022년 육아휴직·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크게 늘어
-육아휴직자 전년 대비 18.6% 증가-
임보라 기자>
지난해 육아휴직자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자가 전년 대비 18.6%, 16.6% 증가했습니다.
먼저 2022년 육아휴직자는 13만여 명으로, 남성 육아휴직자 비율이 꾸준히 증가해 28.9%를 차지했고, 자녀 1세 이내 평균 9개월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육아기 근로시간...
-
'온라인 노사 부조리 신고센터'···"불법·부당행위 근절"
윤세라 앵커>고용노동부가 26일부터 노사 불법·부당행위를 근절하기 위한 온라인 신고센터를 운영합니다.
노사 폭력이나 채용 강요 등이 신고 대상이며 중대한 법령 위반 행위는 사법 조치할 방침입니다.
김현지 기자입니다.
김현지 기자>
고용노동부는 올해를 노동개혁의 원년으로 삼고 역량을 집중할 방침입니다.
녹취> 이정식 / 고용노동부 장관
"올...
-
2022년 육아휴직·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크게 늘어
-육아휴직자 전년 대비 18.6% 증가-
임보라 기자>
지난해 육아휴직자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자가 전년 대비 18.6%, 16.6% 증가했습니다.
먼저 2022년 육아휴직자는 13만여 명으로, 남성 육아휴직자 비율이 꾸준히 증가해 28.9%를 차지했고, 자녀 1세 이내 평균 9개월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편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