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코로나19로 자가격리···계약직도 '가족돌봄비용' 신청 가능할까? [사실은 이렇습니다]
최대환 앵커>
계속해서 다음 주제 살펴보겠습니다.
요즘 코로나19 확진으로 자가격리 하는 분들 많으시죠.
자녀들의 확진 여부에 따라 격리 기간도 많게는 짧게는 일주일에서 길게는 2주가 넘어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일을 쉬게 되면서 급여도 받지 못해 가계 생활에 부담으로 이어지고 있는데요.
정부에서는 가족돌봄비용 제도를 통해 이러한 부담...
-
올해 첫 여단급 KCTC 훈련···무박 4일간 모의 전투
임보라 앵커>
올해 첫 여단급 KCTC 훈련이 진행됐습니다.
첨단 장비가 총동원돼 두 개 여단이 무박 4일간 모의전투에 임했는데요.
김경호 기자가 훈련모습과 함께 이 밖에 다양한 소식들 전해드립니다.
김경호 기자>
1. 올해 첫 여단급 KCTC 훈련, 무박 4일간 모의전투
현장음>
"셋, 둘, 하나, 발사! 거리 6km."
전자 장비를...
-
5차 긴급 고용안정지원금···최대 100만 원 지원
최대환 앵커>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특수고용직 종사자와 프리랜서를 대상으로 5차 긴급 고용안정지원금이 지급됩니다.
송나영 앵커>
코로나19로 가족돌봄휴가를 쓰는 근로자에게도 최대 50만 원이 지원되는데요.
임소형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임소형 기자>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고용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긴급 고용안정지원금.
고용노동부가 ...
-
5차 긴급 고용안정지원금···최대 100만 원 지원
김용민 앵커>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특수고용직 종사자와 프리랜서를 대상으로 5차 긴급 고용안정지원금이 지급됩니다.
코로나19로 가족돌봄휴가를 쓰는 근로자에게도 최대 50만 원이 지원되는데요.
임소형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임소형 기자>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고용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긴급 고용안정지원금.
고용노동부가 5차 긴급 고용안정지...
-
5차 긴급 고용안정지원금···최대 100만 원 지원
임보라 앵커>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특수고용직 종사자와 프리랜서를 대상으로 5차 긴급 고용안정지원금이 지급됩니다.
코로나19로 가족돌봄휴가를 쓰는 근로자에게도 최대 50만 원이 지원되는데요.
임소형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임소형 기자>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고용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긴급 고용안정지원금.
고용노동부가 5차 긴급 고용안정지...
-
특고·프리랜서 5차 긴급 고용안정지원금 지급
김경호 앵커>
고용노동부는 특수고용직 종사자와 프리랜서를 대상으로 5차 긴급 고용안정 지원금을 지급합니다.
지원 대상은 1∼4차 긴급 고용안정지원금을 받지 않은 특고, 프리랜서로 보험설계사, 택배기사 등 9개 직종은 제외됩니다.
오늘(21일)부터 오는 29일까지 누리집에서 신청할 수 있고 오는 24일 부터는 관할 고용센터에서 현장 신청도 가능합니다. ...
-
오늘부터 코로나19 가족 돌봄 비용 신청
송나영 앵커>
코로나19에 감염된 가족이나 휴원, 휴교 등으로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돌보기 위해 가족돌봄휴가를 사용한 근로자에게 한 명당 최대 50만원이 지원됩니다.
고용노동부는 오늘부터(21일) 코로나19 가족 돌봄 비용 긴급지원 사업 신청을 접수한다고 밝혔습니다.
오는 12월 16일까지 고용부 누리집이나 관할 고용센터를 방문해 신청하면 됩니...
-
여행업 등 14개 업종 특별고용지원 연장
김용민 앵커>
코로나19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여행업과 관광숙박업, 영화업 등 14개 업종에 대한 특별고용지원이 올해 연말까지 연장됐습니다.
정부가 2차 고용정책심의위원회에서 이같은 내용을 결정했다고 고용부가 오늘 밝혔습니다.
이와 함께 택시운송업이 특별고용지원 업종으로 새로 지정됐습니다.
택시운송업은 다음 달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지원...
-
만60세 이상 고령자 채용 시 고용지원금 받을 수 있다? [사실은 이렇습니다]
최대환 앵커>
계속해서 다음 주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평균 수명이 높아지면서 정년 이후에도 일을 할 수 있는 근로자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거기에 우리나라의 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이뤄지면서, 고령자 고용 방안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어 왔는데요.
이번에 정부에서 고령층의 고용안정을 지원하기 위한 대책이 마련됐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 고용노동부 ...
-
작년 산재사망 828명···80%가 '중대재해법 대상 밖'
윤세라 앵커>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산업 현장에서 작업과 업무 등으로 숨진 근로자가 828명이라고 밝혔습니다.
산재 사망자의 80% 이상은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대상 밖인 50인 미만 사업장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고 유형별로 보면 떨어짐과 끼임 사고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