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별 뉴스
-
고용부, 설 명절 앞두고 '임금체불' 집중지도
김경호 앵커>
정부가 설 명절을 앞두고 주요 사업장을 대상으로 임금 체불 예방을 지도합니다.
임금 체불 현황을 살피는 한편, 상습 체불 업체에 대해서는 엄정 조치할 방침입니다.
박지선 기자입니다.
박지선 기자>
고용노동부가 오는 30일까지 주요 사업장의 임금체불 예방과 조기청산을 위한 집중 지도기간을 운영합니다.
코로나19 장기화 속에 설 명...
-
산재 사망사고 감축 추진 방향 발표
산재 사망사고 감축 추진 방향 발표
권기섭 / 고용노동부 산업안전보건본부장
(장소: 고용노동부 기자실)
-
고용부, 설 명절 앞두고 '임금체불' 집중지도
최대환 앵커>
정부가 설 명절을 앞두고 주요 사업장의 임금체불 예방을 집중 지도합니다.
임금 체불 현황을 살피고, 상습적으로 체불이 지속된 곳은 엄정 조치할 방침입니다.
박지선 기자입니다.
박지선 기자>
고용노동부가 오는 30일까지 주요 사업장의 임금체불 예방과 조기청산을 위한 집중 지도기간을 운영합니다.
코로나19 장기화 속에 설 명절을 앞...
-
'국민취업지원제도', 시행 1년 4명 중 3명 취업 실패? [사실은 이렇습니다]
최대환 앵커>
계속해서 다음 주제 살펴보겠습니다.
한국형 실업부조로 불리는 ‘국민취업지원제도’.
저소득 구직자와 청년에게 1인당 최대 300만원의 구직촉진수당을 지급하고 취업활동을 지원하는 제도죠.
시행 된지 올해 2년차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일각에서 국민취업지원제도가 시행 된지 1년이 지났지만 취업률이 저조하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내...
-
2022 달라지는 제도···고용·노동 분야 변화는?
최대환 앵커>
스튜디오에 나와 있는 고용노동부 박준호 기획재정담당관과 이야기 나눠봅니다.
(출연: 박준호 / 고용노동부 기획재정담당관)
최대환 앵커>
2022년 새해에는 고용노동부의 정책에 많은 변화가 예정되어 있는데요,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이 최저임금 인상에 관한 내용입니다.
체감상 어느 정도 임금이 오르는지 먼저 짚어주시죠.
최대환...
-
고용부, 설 명절 앞두고 '임금체불' 집중지도
임보라 앵커>
정부가 설 명절을 앞두고 주요 사업장의 임금체불 예방을 집중 지도합니다.
임금 체불 현황을 살피고, 상습적으로 체불이 지속된 곳은 엄정 조치할 방침입니다.
박지선 기자입니다.
박지선 기자>
고용노동부가 오는 30일까지 주요 사업장의 임금체불 예방과 조기청산을 위한 집중 지도기간을 운영합니다.
코로나19 장기화 속에 설 명절을 앞...
-
국민취업지원제도 시행 1년···42만 3천 명 지원
김경호 앵커>
최대 300만 원의 구직촉진 수당을 지급하는 국민취업 지원제도가 시행 1년을 맞았습니다.
지난 1년 동안 취약계층 42만 3천 명이 취업지원 서비스를 받았는데, 정부는 올해 국민취업 지원제도를 통해 60만 명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임소형 기자입니다.
임소형 기자>
한국형 실업부조로 기존 고용보험에 가입하지 못한 저소득층과 청년 ...
-
코로나 완치자, 3차 접종 해야하나? [사실은 이렇습니다]
최대환 앵커>
언론보도에 대한 다양한 궁금증을 짚어보는 ‘사실은 이렇습니다’ 시간입니다.
심수현 팩트체커 전해주시죠.
심수현 팩트체커>
1. 코로나 완치자, 3차 접종 해야하나?
1월 3일부터 코로나19 2차 접종 증명서에 유효기간이 생겼죠.
2차 접종 후 14일 이후부터 180일 이내에 3차 접종을 해야 접종증명 효력이 유지되는데요.
그렇...
-
국민취업지원제도 시행 1년···42만 3천 명 지원
신경은 앵커>
'국민취업지원제도'가 시행된 지 1년이 됐습니다.
그동안 취약 계층 42만 3천 명이 도움을 받았는데요.
올해는 60만 명이 지원을 받습니다.
임소형 기자입니다.
임소형 기자>
한국형 실업부조로 기존 고용보험에 가입하지 못한 저소득층과 청년 등을 위한 2차 고용안전망인 국민취업지원제도.
한 달에 50만 원씩 6개월 동안 최대 ...
-
국민취업지원제도 시행 1년···42만 3천 명 지원
김용민 앵커>
최대 300만 원의 구직촉진수당을 지급하는 국민취업지원제도가 시행된 지 1년이 됐습니다.
시행 1년 동안 취약계층 42만3천 명이 취업지원서비스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정부는 올해 국민취업지원제도를 통해 60만 명을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임소형 기자입니다.
임소형 기자>
한국형 실업부조로 기존 고용보험에 가입하지 못한 저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