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볼라벤' 한반도 강타…전국 피해 속출
이번에는 현재까지 집계된 태풍 피해상황을 취재기자 연결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김유영 기자!
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나와 있습니다.
Q1>김 기자, 지금까지 피해는 얼마나 됩니까?
네, 태풍이 북상하면서 피해소식도 속속 집계되고 있습니다.
오전에 전남 진도 전역에서 3시간 동안 정전이 되는 등 광주·전남 지역에서 모두 6...
방송일자 : 2012.08.28
-
비보다 강풍 피해 컸다
태풍 ‘볼라벤’은 당초 예상과는 달리 비보다는 강한 바람에 의한 피해가 훨씬 컸습니다.
강풍이 할퀴고 간 처참한 피해 현장을 박성욱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강풍피해는 볼라벤이 가장 먼저 상륙한 제주에서 시작됐습니다.
제주지역에 도착한 태풍은 순간 최대 초속 49.6m의 강풍을 몰아치면서 각종 시설물을 파괴했습니다.
서귀포시의 한 ...
방송일자 : 2012.08.28
-
태풍 '볼라벤' 으로 전국 곳곳 교통통제
태풍 ‘볼라벤’이 지나가면서 항공기와 여객선 결항이 이어졌습니다.
거센 바람으로 인천대교가 통제됐고, 열차 운행이 곳곳에서 차질을 빚기도 했습니다.
계속해서 송보명 기자 기자입니다.
태풍 볼라벤의 영향으로 여객선과 항공기의 발이 꽁꽁 묶였습니다.
서해바다를 끼고 있는 인천은 일찌감치 대비에 들어갔습니다.
인천을 오가는 여객선 ...
방송일자 : 2012.08.28
-
태풍 피해, 어떻게·얼마나 보상 받나?
태풍이나 집중호우 등 자연재해 피해는, 관련 보험에 미리 가입해 두면 유사시에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태풍으로 인한 피해, 어떻게 얼마나 보상 받을 수 있을까요?
먼저 김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해마다 반복되는 태풍 피해.
태풍과 함께 찾아오는 호우와 강풍으로 집이 물에 잠기거나, 애써 기른 농작물이 피해를 입는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태풍이나...
방송일자 : 2012.08.28
-
농어촌 피해 보상, '재해보험' 필수
특히 자연재해에 고스란히 노출될 수 밖에 없는 농어촌은 보험 가입이 꼭 필요합니다.
국고 지원 등이 가능한 재해 '정책보험'에 가입하면, 20~30%의 보험료 만으로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계속해서 표윤신 기자입니다.
경기도 안성의 한 배 과수원, 떨어진 과실들이 바닥에 새하얗게 나뒹굽니다.
이번 태풍으로 수확을 한 달 앞둔 신고배 절반 이상이 상품...
방송일자 : 2012.08.28
-
이 대통령 "기후변화로 기상예측 중요"
청와대도 하루종일 태풍 상황을 점검하며 분주히 움직였습니다.
기상청을 방문한 이명박 대통령은 세계적인 기후변화로 기상예측이 중요해졌다면서, 과학적인 기상예보를 강조했습니다.
이해림 기자입니다.
태풍 '볼라벤'이 서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시각.
이명박 대통령이 기상청을 깜짝 방문했습니다.
현직 대통령이 기상청을 찾은 건 51년만으로, 이 대통령은 ...
방송일자 : 2012.08.28
-
김 총리, 태풍 대응 안전관리 강화 당부
김황식 국무총리는 관계부처와 지방자치단체에 우리나라가 태풍의 영향권에서 완전히 벗어날 때까지 상황관리와 피해 예방에 만전을 기하고 비상근무체계를 유지해달라고 말했습니다.
김 총리는 오늘 오전 국무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이같이 말하고, 특히 전기와 통신, 교통·수도 등 국가기반서비스가 중단되는 일이 없도록 대비하고, 수확기를 앞둔 농작물 침수와...
방송일자 : 2012.08.28
-
한미연합사, 태풍으로 UFG연습 일시 중지
태풍 `볼라벤'의 북상에 따라 지난 20일 시작된 을지프리덤가디언 연습이 일시 중지됐습니다.
한미연합사령부는 "장병의 안전을 고려해서 기상 상황이 호전될 때까지 연습을 일시적으로 중지하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연합사는 기상 여건이 호전될 경우 훈련 재개 여부를 검토할 계획입니다.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방송일자 : 2012.08.28
-
"노다 총리 발언, 사과·반성 무효화 행위"
'강제동원 증거가 없다'
이 말은 최근 일본 고위 각료들이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주장하고 있는 것인데요.
우리 정부는 과거의 사과와 반성을 무효화하는 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강필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정부는 최근 잇따르고 있는 일본 고위 관료들의 위안부 발언과 관련해 매우 적절치 못했다고 정면으로 비판했습니다.
강제동원 증거가 없다는 노다 ...
방송일자 : 2012.08.28
-
권익위, '동영상 부패신고' 적극 권장
스마트폰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동영상을 활용한 부패신고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증거가 확실한 만큼 정부는 동영상 신고를 적극 유도하기로 했습니다.
이지수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어느 건물의 지하 주차장.
사람들의 눈을 피해 한 업체 관계자가 담당 공무원의 자동차 트렁크를 열고 무엇인가를 넣습니다.
건축허가를 받기 위해 현금 2천만원을 전달한 겁니다.
...
방송일자 : 2012.08.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