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산물의 가격 상승으로 인플레이션이 초래되는 이른바 '애그플레이션'에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김용택 선임연구위원 모시고 국제곡물가격 상승세에 대한 전망과 그 대책을 들어보는 시간 마련했습니다.
Q1>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얼마 전 ‘세계 곡물 수급·가격 동향 보고서’를 내놓기도 하셨는데요.
먼저, 주요 내용을 간략하게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Q2> 과거의 곡물 파동을 보면 이상기후 같은 단기적인 요인에 의한 것이었지 않습니까?
하지만 최근 곡물 값 폭등은 그 원인이 다르다고 하던데요.
어떻습니까?
Q3> 일부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이번 국제 곡물 가격 불안정이 장기화되지 않겠느냐는 전망도 나오고 있습니다.
농촌경제연구원에서는 어떻게 보고 계신가요?
이와 함께, 국제기구나 선진국들의 전망도 궁금한데요.
Q4> 국내 식량자급률이 28%라고 하죠.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고 하던데요.
어떻게 하면 식량자원을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을지, 대책을 말씀해 주시겠습니까?
Q5> 마지막으로 국민들에게 당부하고 싶은 말씀이 있으시다면 해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