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길잡이 '2016 한국의 사회지표' [정책공감]

4시& 브리핑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길잡이 '2016 한국의 사회지표' [정책공감]

등록일 : 2017.04.06

MC>
올해도 통계청이 '한국의 사회지표'를 발표했습니다.
우리나라의 인구변화부터 여가 생활 변화까지 한국의 자화상이 고스란히 드러났는데요.
지금까지의 대한민국은 얼마나 달라졌고 앞으로 얼마나 달라질까요?
의미 있는 결과들과 앞으로의 전망까지, 통계청 사회통계기획과 윤연옥 과장과 살펴보겠습니다.
1>
한국의 사회지표, 1979년 이후로 매년 작성한다고 하는데, 작성하게 된 정확한 배경은 무엇인가요?
2>
대한민국의 종합적인 모습을 담기 위해선 방대한 자료를 분석해야 할 텐데요.
어떤 분야를 어떤 방식으로 작성하는 건가요?
3>
여러 분야 중에서 인구 분야가 최대 관심사라고 볼 수 있는데요.
대한민국 총인구 어떻게 변했고 또 앞으로 어떻게 전망할 수 있을까요?
4>
특히 우리나라는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데요.
앞으로 고령화가 더욱 가속화된다고 볼 수 있을까요?
5>
한국의 사회지표를 통해서 가구 형태의 변화도 살펴 볼 수 있다고 하는데요.
요즘 혼밥, 혼술, 혼영 이런 단어들을 많이 접할 수 있는데 과연 1인 가구는 얼마나 되나요?
6>
가구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결혼’과 ‘이혼’일 텐데요 실제로 우리나라 사람들의 결혼과 이혼에 대한 가치관도 상당히 달라졌다고 하죠?
7>
그렇군요.
그럼 결혼과 이혼에 대한 가치관이 달라지고 있다면 실제 수치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나요?
8>
요즘 언론이나 주위를 보면 경제상황이 그렇게 좋은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소득이나 소비생활에 대해서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지 알 수 있나요?
9>
이밖에도 우리 사회의 변화를 알 수 있는 결과들, 어떤 것들이 있었습니까?
10>
한국의 사회지표를 통해서 보니 사회의 다양한 변화상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 지표들을 거울삼아 우리 사회가 좀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는 게 중요하겠죠?
MC>
매년 발표되는 한국의 사회지표를 통해 우리 국민의 삶의 질이 더욱 높아지고 더 나은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이 이뤄졌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지금까지 통계청 사회통계기획과 윤연옥 과장과 함께 했습니다.
오늘 말씀, 감사합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