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6년 우크라이나 체르노빌 사고 등으로 급속히 위축됐던 원자력 발전이 최근 고유가 행진이 지속되
면서 각국의 에너지 경쟁력을 확보하는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지난 2월 발효된 교토의정서로
인해 세계 각국이 당장 석유 가스 등 화석연료 사용을 줄여야 하는 것도 원자력 발전소(이하 원전) 건
립 붐을 촉발시키고 있습니다.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 최근호(7월9일자)는 “지구온난화에 대
처하지 못하느니 차라리 원자력을 활용하는 게 낫다는 인식이 환경보호론 자들 사이에 확산되고 있
다”고 보도했습니다.
유럽에선 핀란드가 TVO란 컨소시엄을 만들어 미주대륙과 유럽을 통틀어 10년 만에 처음으로 원자력
발전소 건립을 추진 중이다. 프랑스 의회도 새 원전 건립을 최근 승인했습니다. 미국 상원은 지난달
28일 원전 건설 지원책을 담은 에너지 법안을 통과시켜 부시 행정부의 안전 활성화 의지를 뒷받침했습
니다. 지난 8일 G8(선진 7개국+러시아)회의에서 화석연료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고 경고 받은 중국도
2020년까지 원전 30기를 추가 건립할 계획입니다. 이코노미스트는 특히 원자력 산업계와 환경보호론
자들이 ‘원자력이 온실가스 방출을 줄 일수 있는 최적의 해법’이란 인식에 동의하고 있다고 지적했
습니다.
원자력 발전은 화력발전 등 다른 발전방식에 비해 고정비는 50% 가량 높지만 원료비는 4분의 1에 불
과합니다. 기존 원자력 발전소의 전력생산 비용은 미국의 경우 1㎾h(시간당 1㎾)당 1.7센트로 석탄 발
전 2센트, 가스발전 5.7센트에 비해 저렴하다 운영효율이 높아지면서 원자력 발전 변동비가 줄고 있
는 것도 고무적입니다. 미국의 경우 지자체들이 103기 원자력 발전소를 각기 보유하고 있었으나 지금
은 합병을 통해 운영 효율이 높아졌습니다.
이에 따라 원자력 발전소 가동률도 1984년 56%에서 지금은 90%로 올라섰습니다. 각기 다른 설계대로
지어진 프랑스 원자력 발전소는 최근 표준화를 추구, 운영비용을 20% 절감했다. 여기에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 배출권 가격이 톤당 29유로로 올 초에 비해 4배나 오른 점도 원전의 매력을 더해주고 있
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