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시청자의견

대체에너지의 한계

글자확대 글자축소
작성자 : 대체에너지(대체에**)
등록일 : 2004.03.30 17:32
대체에너지의 한계



우리나라에서는 대체에너지 개발 및 이용 보급 촉진법 제2조에서 대체에너
지를 석유, 석탄, 원자력, 천연가스가 아닌 11개 분야의 에너지로 규정하고
있다. 여기에 해당하는 11개 분야는 크게 태양열, 태양광발전, 바이오매스,
풍력, 소수력, 지열, 해양에너지, 폐기물에너지 등 재생에너지 8개 분야와
연료전지, 석탄, 석탄액화가스화, 수소에너지 등 신에너지 3개 분야로 구분
하고 있다.

위의 재생에너지는 깨끗하고 고갈될 염려가 없을 뿐 아니라 무공해 재생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에너지 밀도가 너무 낮아 많은 양의 에너
지를 필요로 하는 곳에서는 실용성이 적고, 태양열이나 풍력은 기후에 영향
을 받기 때문에 보조 발전 시설이 필요하다. 또한 다른 재생에너지들도 효
율성이나 경제성이 적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환경단체에서 주장하는 태양발전의 경우 비가오거나 흐린 날과 일몰
이후에는 발전을 할 수가 없다. 또한 우리가 필요로 하는 대규모의 전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온 국토를 태양전지판으로 뒤덮어야할 판국이다. 그리고
태양발전 설비의 고가로 인해 발전단가도 높고 태양전지의 2차 오염도 발생
한다.

이제 곧 석유, 석탄, 천연가스 등은 이제 곧 돈을 주고도 살 수 없는 시대가
다가온다. 기름값이 폭등하면서 선진국들은 석유자원 확보를 위해 전쟁 아
닌 전쟁을 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에게 가장 현실적인 경제적 에너
지원은 바로 원자력이다.

에너지의 97%이상을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로서는 현실적인 대안일 수
밖에 없다. 일부 선진국들의 석유자원 독점 현상이 심각해지는 상황에서 국
가 안보와 관련된 에너지 확보를 엄청난 개발비와 오랜 기간을 필요로 하
는 대체에너지 개발에만 기댈 수는 없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