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우리사회 양극화의 심각성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KTV 국정와이드는 이번 한 주 동안 양극화 실태를 집중 진단해 보기로 했습니다.
2005년을 기준으로 우리나라 전체 취업자 수는 2천3백만명.
이 중 정규직 근로자가 800만명이고, 나머지 1500만명은 비정규직과 비임금 근로자입니다.
10년 전인 1995년과 비교하면 모두 240만개 일자리가 늘어났습니다.
그러나 늘어난 일자리 중 정규직이 40만명, 나머지 200만명은 비정규직 이하 근로자입니다.
비정규직 근로자의 임금 수준이 정규직 근로자의 5~60% 수준인 점을 감안하면 이 같은 근로조건의 변화는 사람들의 소득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면 지난 10년 동안 우리나라 도시 근로자의 소득은 어떻게 변했을까?
지난해 기준으로 우리나라 도시 근로자의 평균 소득은 325만원.
10년 전 191만원에 비해 170%가 올랐습니다.
하지만 계층별로 살펴보면 사정은 조금 다릅니다.
우선 소득 수준이 하위 20%에 해당하는 근로자는 지난 1995년 81만원에서 지난해 116만원으로 35만원이 늘어 140%의 상승률을 보였습니다.
반면 상위 20%의 소득은 358만원에서 633만원으로 275만원이 늘어나 평균 상승률을 웃도는 176%의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이 때문에 두 계층간의 소득을 기준으로 불평등 정도를 나타낸 5분위 배율과 지니계수 모두 외환위기를 기점으로 대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마디로 일자리 수와 임금은 늘었는데도 불평등 정도는 심해졌다는 얘깁니다.
소득 격차는 다시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교육부문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소득 상위 20%는 월 평균 교육비로 44만원, 전체 소비의 13%를 사용했습니다.
반면 하위 20%의 교육비는 전체 소비의 9.3%에 해당하는 10만원만을 사용해 두 계층간 교육비 차이가 34만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득이 높을수록 교육의 기회도 많아지는 셈입니다.
하지만 이 같은 교육 기회의 불균형은 근로 조건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계층간 격차를 고착화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