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표 교육부총리는 10일 전북도교육청을 방문한 자리에서, `사학법이 정치 쟁점화되다 보니 과장되게 선전된 측면이 있다며 사학법의 정확한 내용을 적극적으로 홍보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김진표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은 전북지역 시.군 교육장 및 교육위원과 가진 간담회에서 `사학법이 마치 사학의 자율성을 심각히 침해하는 것처럼 오해되고 있으나 사실은 전혀 그렇지 않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와 함께 `신입생들의 수업에 차질이 없도록 철저한 학사 관리와 함께 적극적인 홍보에 나서달라`고 당부했습니다.
김 부총리는 이어 `사학이 건학이념을 발휘할 수 있도록 자율성을 최대한 보장하겠다`며 사학법 시행령 개정과 사학 지원을 위한 특례법 제정도 이러한 방향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김진표 교육부총리는 `비리.분규 학교에 대해서는 정밀감사를 실시해 일벌백계 하겠다`는 뜻을 다시 한번 확인했습니다.
하지만, 사학계에서는 종교계사학은 특별감사에서 제외키로 한 정부의 ‘선별 감사’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사실상 사학법 반대 투쟁을 주도하고 있는 한국 사립중고교 법인협의회가 5천여개에 달하는 모든 사립 중고교에 대한 전면 감사를 요구하고 나선 것입니다.
협의회는 이와 함께 1,000만 명 서명운동 등 사학법 반대 투쟁을 계속한다는 방침입니다.
사립학교에 대한 정부의 특별감사 방침이 사학법을 둘러싼 또 다른 갈등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정부와 사학사이에 대화의 물꼬를 트는 일이 무엇보다 시급해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