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지역확산이 소강상태에 접어든 지금이 구제역을 잡느냐 못잡느냐 중대 고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구제역 확산을 막기 위해 우리 국민 모두가 유의해야 점을 다시 한번 정리해봤습니다.
지난 1월10일 이후 구제역 지역확산은 어느정도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구제역 발생지역 방문 자제와 철저한 농장 소독 등 구제역 확산방지를 위한 국민들의 행동 요령은 더욱 철저히 지켜져야 합니다.
맹형규 행정안전부장관
“구제역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특히 철저한 농장 소독, 외부인 출입 통제, 사료·동물약품·가축수송차량 및 탑승자에 대한 통제와 소독, 외부 모임 자제 및 신속한 의심축 신고가 필요합니다.
우선 설 연휴 기간 동안 고향을 찾아 이동할 계획을 갖고 있는 귀성객들이라면, 구제역 발생지역 방문을 자제해야 합니다.
특히 구제역 발생 축산농가 방문은 삼가해야 합니다.
축산농가는 백신접종 후 가축의 상태를 면밀히 살피고, 이상 증상이 발생할 경우 신고 방법 등을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해외여행을 다녀올 땐 반드시 검역당국에 신고하고, 소독과 방역 교육을 받아야 합니다.
귀국 후 5일이 지나기 전에는 축산농가 방문을 삼가해야 합니다.
주요 도로의 접경지 인근과 마을 입구에 설치된 방역초소를 통과할 경우 충분한 소독이 이뤄질 수 있도록 차량 운행 속도도 줄여야 합니다.
한편, 정부는 설 연휴 구제역 확산을 원천 차단하기 위해 버스터미널과 기차역, 공항과 항만 등에 발판소독조가 설치하는 등 이중삼중의 방역망을 구축할 방침입니다.
부족한 근무인력을 확보하기 위한 군과 경찰의 협조체계도 유지한다는 계획입니다.
KTV 이충현입니다.
(KTV 한국정책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