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추억이 서린 나의 물건…후손에 소중한 자산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추억이 서린 나의 물건…후손에 소중한 자산

등록일 : 2015.07.07

앵커>

어릴 때 재미있게 보았던 학생잡지와 초등학교 때 써낸 글짓기 작품들, 혹시 이사할 때마다 이런 소중한 추억이 있는 물건들을 버려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하진 않으시나요?

이런 물건들도 잘 보관해두면 후대에게 소중한 유물이 될 수 있습니다.

김희진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사내용]

인천의 한 박물관.

시민들의 손때와 사연을 담은 유물이 가득합니다.

1980년대와 90년대에 인천과 서울에서 사용되던 종이로 만든 시내버스 승차권.

80년대 청소년들이 애독하던 월간 잡지들.

80년대 초반까지 여학생들이 들고 다녔던 학생가방.

불과 20~30년 전만 해도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고 실제 사용하던 물건들이 전시관 유리벽 너머에 놓여 있습니다.

전시품 밑에는 기증한 사람의 이름과 물건에 담긴 사연들도 적혀 있습니다.

인터뷰> 조우성 관장 / 인천시립박물관

"옛날 같으면 백성인거죠. 그리고 그 분들이 사용했던 온갖 의식주에 관련된 유물들이 바로 시간이 지나가면 역사의 유물이 된다고 보죠."

이 박물관은 지난 2009년부터 해마다 기증받은 시민의 물건들로 전시회를 열고 있습니다.

2009년부터 지금까지 박물관이 기증받은 유물은 3천2백여 점이나 됩니다.

자신이 소중하게 보관해 온 물건을 가증한 사람은 181명에 이릅니다.

인터뷰> 유조파 기증자

"옛날에 졸업 때 졸업앨범도 주지만 그런 문집을 졸업생들에게 나눠주고 그랬었어요. 내 삶의 역사를 되돌아 볼 수 있고요. 아 열심히 살았구나 하는 그런 기분이 듭니다."

예전엔 흔했지만 지금은 귀한 존재가 된 기증품을 보면서 관람객은 희미해져 가는 추억도 되새겨 봅니다.

인터뷰> 이명희 / 인천시

"저희 아버지가 가게를 했어요. 그래서 고구마나 감자 같은 걸 팔았거든요. 바구니에 고구마, 감자를 담아서 저울에 달아 가지고 팔고 그래서 저울을 보니까 돌아가신 아버지가 생각나서 마음이 뭉클하네요."

인터뷰> 최성환 / 대전시

*말자막

"옛날엔 이런 물품이 흔했잖아. 일상용품이었기 때문에 그런 것은 흔했는데 세월이 지나가면서 그것이 다 없어진거지…"

고이 간직돼 온 개인의 물건들이 동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에겐 추억을 되살리게 하고 후손들에겐 역사를 말해주는 자산이 되고 있습니다.

국민리포트 김희진입니다.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