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일본 우토로마을의 한글 사랑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일본 우토로마을의 한글 사랑

등록일 : 2017.04.03

앵커>
일본의 강제징용 이후 고국에 돌아오지 못한 재일동포들이 살고 있는 우토로마을 한번쯤은 들어보셨을 텐데요.
마을 전체가 이주해야하는 뒤숭숭한 분위기에도 아이들이 한글을 배우는 열정이 가득합니다.
우토로 마을에서 오동범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사내용]
현장멘트>
일본 교토 남부 우지시에있는 우토로입니다.
일제 때 강제 징용된 조선인들이 모여 살던 마을입니다.
곳곳에 남아 있는 폐가와 주민들의 요구와 희망이 담긴 현수막이 마을이 처한 상황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우토로는 1941년 일제 강점기 군 비행장 건설에 동원됐던 조선인 노동자 만3천여 명의 힘든 삶과 아픈 역사가 있는 마을입니다.
이곳은 조선인 노동자들이 머물던 합숙소입니다.
좁은 공간의 집들은 당시 노동자들의 주거환경이 얼마나 열악했는지를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광복 이후 조선인들은 보상도 제대로 받지 못한 채 하나둘 마을을 떠났고 지금은 60여 세대 2백여 명이 남아있습니다.
우토로마을에 남아있는 우리 동포도 조만간 다른 곳으로 이주 절차를 밟고 있습니다.
법정 소송에 이주 협상까지 뒤숭숭한 분위기에도 변하지 않은 한 가지가 있습니다.
바로 한글 사랑입니다.
학생들이 우리 말과 글을 익히고 있습니다.
한글 교실은 열 명의 재일교포 학생들이 세 개 반으로 나누어져 진행됩니다.
열악하기만 했던 한글 교실 환경이 좋아지고 공부 방법도 바뀌었습니다.
서경덕 교수와 방송인 서경석 씨의 '한글 공부방 지원 프로젝트'를 통해 한글 교육에 필요한 컴퓨터, 빔프로젝터 등 교육 물품을 기증받은 덕분입니다.
인터뷰> 임해류 / 재일교포 4세
“종이나 글로 배울 때보다 소리나 영상으로 배우는 것이 이해하기 더 쉽고 마음에 듭니다.”
인터뷰> 임의안 / 재일교포 4세
“공부를 열심히 해서 우리말을 더 잘하고 싶습니다. 어려운 말들도 이해하기 쉽고 더 자세히 공부할 수 있어서 좋습니다.”
1946년 국어강습소로 문을 연 한글학교는 운영과 중단이 거듭되기는 했지만 70년 동안 우토로 마을에 우리글과 말을 지켜온 산실입니다.
인터뷰> 김수환 / 우토로마을 한글학교 대표
“아이들과 동포들이 한국에서의 관심과 지원에 대해서 기뻐하고 힘을 얻고 있고 아직 어려움이 많지만 큰 도움이 되는 것에 대해 감사드립니다.”
재외동포들의 정체성을 지켜나가는 데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우리말입니다.
우리말 교육 지원을 통해 우토로 마을 어린이를 비롯해 각 나라 재외동포들의 한글 사랑과 자긍심을 높이게 될 것으로 기대해 봅니다.
일본 교토에서 국민리포트 오동범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