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보 전면 개방' 영산강·금강 자정능력 향상 [현장in]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보 전면 개방' 영산강·금강 자정능력 향상 [현장in]

등록일 : 2019.02.13

유용화 앵커>
얼마 전 환경부가 4대강의 보 수문을 개방했죠.
수문 개방 후 영산강, 금강의 자정 능력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분석됐는데요.
오늘 현장인에선 4대강 보 수문 그 이후를 짚어봤습니다.
이리나 기자입니다.

이리나 기자>
호남평야를 가로지르는 영산강.
지난해 4월과 11월 영산강 승촌보와 죽산보의 수문이 각각 완전히 열렸는데, 4대강 중 영산강의 자정능력이 가장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물속의 오염물질을 정화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하는 자정계수가 승촌보의 경우 보 개방 전보다 9.8배 죽산보는 2.2배 상승했습니다.
특히 승촌보의 물의 흐름은 유속이 7배 가까이 빨라져 체류시간이 크게 줄었습니다.
유해 남조류 출현도 보 개방 이전 같은 기간에 비해 15% 수준으로 감소했고, 강의 침식과 퇴적활동의 산물인 모래톱이 축구장 면적의 약 23배 늘었습니다.
보시는 것처럼 이렇게 넓어진 모래톱과 습지는 다양한 물새류와 삵 등 멸종위기 동물들의 서식지가 되고 있습니다.
서식환경이 조성되면서 다양한 물새들이 떼를 지어 모래톱 위에서 쉬는가 하면, 은빛 물살을 가르며 여유로운 한 때를 보내는 모습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환경부는 보 개방 후 텃새화 된 물새류 개체 수가 2배 증가하는 등 야생생물의 서식환경이 나아졌다고 밝혔습니다.
환경단체들도 수문개방으로 수질이 개선되는 등 재자연화의 가능성이 확인됐다고 주장합니다.

인터뷰> 최지현 / 광주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예전에는 큰빗이끼벌레나 녹조 등 이런 것들이 굉장히 많이 번성했는데 보가 개방된 이후에
이런 부분이 많이 개선되었고, 특히 수질이 많이 좋아졌기 때문에 하천의 생물상들도 계속 좋아질 거라고 생각합니다."

물줄기가 가로막힌 채 온통 초록빛으로 가득합니다.
(영상제공: 김종술, 대전충남 녹색연합)
본류는 물론 샛강까지 온통 녹색입니다.
몇 달 뒤 강을 뒤덮은 녹조는 온데간데없고, 잔잔한 파란 강물이 흘러갑니다.
금강의 3개 보의 수문이 활짝 열리면서 사정은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이렇게 물새가 다시 찾아오고 고운 모래밭이 펼쳐진 겁니다.
보가 개방된 후 자정계수가 최대 8배 향상됐습니다.
지난여름 기록적인 더위에도 녹조류 농도는 30% 줄었고, 강을 찾는 물새는 개방 전보다 1.5배 늘었습니다.
특히 공주보와 백제보에 비해 수문개방 기간이 가장 길었던 세종보는 강바닥에 서식하는 저서동물과 어류의 건강성 지수가 향상됐습니다.

인터뷰> 이경호 / 대전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운반, 침식, 퇴적 이것들이 하천의 흐름에 있는 기능들인데 그걸 통해서 하천 지형이 굉장히 다양해 졌습니다. 깊은 물, 낮은 물, 육지 등이 생겨나면서 그 안에 생물이나 서식하는 개체들이 종수도 다양해지고 수도 증가했습니다."

보 개방 후 모니터링 결과에서 수질개선 가능성과 자정능력 향상이 확인된 영산강과 금강.
(영상취재: 오민호, 우효성, 심동영, 이수오 / 영상편집: 양세형)
두 강의 보 처리방안 발표를 앞둔 환경부가 어떤 결론을 내릴지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현장인 이리나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