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소재·부품 '탈일본' 박차···대기업 R&D 참여 지원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소재·부품 '탈일본' 박차···대기업 R&D 참여 지원

등록일 : 2019.08.08

유용화 앵커>
우리 정부는 일본의 수출규제에 맞서 소재·부품 부문 경쟁력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데요.

신경은 앵커>
앞으로 정부가 주도하는 연구 개발에 대기업이 적극 참여하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이혜진 기자입니다.

이혜진 기자>
정부가 소재·부품 분야에서 자립하기 위한 연구개발(R&D) 제도 개선안을 마련했습니다.
지난 5일 발표한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대책의 후속 조치입니다.
그동안 소재·부품산업의 대외의존도가 높은 원인으로, 중소기업이 관련 기술을 개발해도 수요기업인 대기업이 활용하지 않는 구조가 지목돼왔습니다.

소재·부품 주요 공공·전담기관 현장간담회
(장소: 대전 한국화학연구원)

이에 정부는 대기업과 공급기업의 협력 기술개발에 대한 인센티브를 강화하기로 했습니다.
앞으로 대기업이 정부 주도 R&D 사업에 수요기업으로 참여하면 중소기업 수준의 출연금 지원과 현금부담만 해도 됩니다.

녹취> 성윤모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대기업이 수요기업으로 공급기업과 함께 연구개발(R&D)에 참여할 경우 사업비 부담을 경감하는 등 수요-공급기업 간 협력 R&D에 대한 인센티브를 대폭 강화해서 상생형 협력을 유도하겠습니다."

기술개발이 시급하면 정부가 연구개발 수행기관을 미리 지정해 추진하는 '정책지정' 방식을 활용합니다.

녹취> 박건수 /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혁신성장실장
"과제의 계획부터 시행에 이르기까지 약 200일이 걸리는 것을 30일 이내로 단축시켜 R&D를 빨리 시작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핵심기술을 조속히 확보해 나아가서는 대외의존적 산업구조를 탈피하는..."

이밖에 R&D 목표 달성에 실패해도 '성실수행'으로 인정되면 관련 규제에서 제외하는 등 도전적 R&D를 장려하고 연구자의 부담도 줄이기로 했습니다.
(영상취재: 김영기 / 영상편집: 최아람)

이혜진 기자 yihj0722@korea.kr>
정부는 이번 제도개선안을 포함해 핵심 소재의 자립 역량을 확보하기 위한 R&D 투자전략 등을 이달 말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공개할 예정입니다.

KTV 이혜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