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특수고용직·프리랜서 코로나19로 소득 69% 감소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특수고용직·프리랜서 코로나19로 소득 69% 감소

등록일 : 2020.11.03

유용화 앵커>
정부가 1차 긴급고용안정지원금 수급자에 대한 통계 분석을 내놨습니다.
긴급지원금을 받은 특수고용직 종사자와 프리랜서는 코로나19로 소득이 6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임소형 기자입니다.

임소형 기자>
정부가 코로나19 사태로 어려움을 겪는 영세자영업자와 특수고용직 종사자, 프리랜서에게 지원한 1차 긴급고용안정 지원금 수급자 통계 분석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긴급지원금 신청자 가운데 영세자영업자는 109만 8천 명으로 62.5%를 차지했습니다.
특수고용직과 프리랜서는 58만 7천 명, 무급휴직자는 7만 1천 명 이었습니다.
특수고용직과 프리랜서 신청자 가운데 여성이 남성보다 19만 9천 명 더 많았습니다.
직종별로는 보험설계사가 10만 5천 명으로 가장 많았고 학습지 교사, 대리운전기사, 방문판매원 순이었습니다.
긴급 지원금을 받은 특수고용직과 프리랜서는 코로나19 사태 이전보다 월 소득이 평균 69% 감소했습니다.
소득 수준이 가장 낮은 1분위 수급자의 소득 감소율은 75.6%로 가장 높았습니다.
6분위 수급자 소득 감소율은 55.7%로 소득이 낮을수록 소득 감소가 큰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소득감소율이 60% 이상인 경우가 절반 정도였고 80% 이상인 경우도 41%로 나타났습니다.
소득감소율 60% 이상 가운데 직종별로 방문교사가 66.2%로 가장 많았고 대출 모집인, 건설기계 종사자, 대리운전기사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특수고용직 수급자 가운데 지난 2017년에서 2019년 사이 고용보험 가입 이력이 한 번이라도 있는 경우는 22%로 파악됐습니다.
다시 말해 상당수 취업자가 임금 근로자와 특고 사이를 오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고용노동부는 노동시장 최대 취약계층인 특수고용직과 프리랜서에 고용안전망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를 위해 특수고용직 고용보험 적용을 위한 고용보험법 등 연내 입법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영상편집: 이승준)
또 특수고용직과 프리랜서 소득 파악체계를 구축해 연말 고용보험 사각지대 해소 로드맵에 담을 방침입니다.

KTV 임소형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KTV 대한뉴스 (590회) 클립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