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쌀값 상승, 정부의 '타작물 재배사업'의 부작용? [사실은 이렇습니다]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쌀값 상승, 정부의 '타작물 재배사업'의 부작용? [사실은 이렇습니다]

등록일 : 2021.02.23

최대환 앵커>
계속해서 다음 주제 자세히 들여다 보겠습니다.
우리 식탁에 빠질 수 없는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쌀이죠.
그만큼 정부에서도 물가 관리 1순위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는데요.
최근 1년 사이 쌀값은 20% 정도 올랐습니다.
일각에선 이러한 쌀값의 상승 원인으로 정부가 관리를 꼽고 있는데요.
농림축산식품부 식량정책과 김정주 과장과 자세한 내용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출연: 김정주 / 농림축산식품부 식량정책과 과장)

최대환 앵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1년 사이 쌀 가격이 약 20% 정도 올랐습니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쌀값 상승의 원인으로 정부가 벼 재배 면적을 축소해 쌀 생산량을 의도적으로 줄였다고 지적하고 있는데요.
사실 여부 확인 부탁드립니다.

최대환 앵커>
그러니깐 벼 재배 면적의 감소폭 보다 생산량 감소 폭이 훨씬 크게 나타나고 있어 재배면적이 줄어서라기 보다는 자연재해 등의 영향이 크다는 말씀이군요.
이런 지적도 있습니다.
쌀 가격 상승의 원인 중 하나가 정부가 지난 3년간 진행한 ‘타작물 재배사업’의 부작용이다, 이러한 사업의 역효과 때문에 정부가 3년 만에 사업을 접었다.. 이렇게 지적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최대환 앵커>
쌀 가격 안정화를 위한 계획, 향후 쌀의 생산과 소비 관리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최대환 앵커>
네, 지금까지 농림축산식품부 식량정책과 김정주 과장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