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수년째 방치된 폐교, 교육청엔 골칫덩이? [사실은 이렇습니다]

생방송 대한민국 1부 월~금요일 10시 00분

수년째 방치된 폐교, 교육청엔 골칫덩이? [사실은 이렇습니다]

등록일 : 2021.03.17

최대환 앵커>
계속해서 또 다른 주제 자세히 살펴 보겠습니다.
인구절벽의 위기 속에 학생 수가 점차 줄어들면서 농어촌을 중심으로 문을 닫은 학교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 상황인데요.
그런데 일각에서 이렇게 문을 닫은 폐교가 활용되지 못한 채 수년째 방치되면서, 약 2조원 규모에 달하는 보유폐교 자산 또한 방치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 교육부 지방교육재정과 홍기욱 사무관과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출연: 홍기욱 / 교육부 지방교육재정과 사무관)

최대환 앵커>
앞서 말한 것처럼 전국적으로 폐교가 늘어나면서 활용 방안을 찾지 못해 방치된 폐교가 천 곳이 넘는다고 하는데요.
이 부분 사실 확인 부탁드립니다.

최대환 앵커>
갈수록 폐교는 늘고 학생 수는 줄어 특단의 대책 마련이 무엇보다 필요한데요.
그런데 폐교를 활용하는데 제한이 있어 다양한 활용이 어렵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이 부분은 어떻습니까?

최대환 앵커>
이렇게 폐교재산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방안을 계속해서 마련하고 있지만, 앞으로도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폐교재산이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 부분에 대해서는 어떤 점이 중요할까요?

최대환 앵커>
네, 교육부 지방교육재정과 홍기욱 사무관과 이야기 나눴습니다.
오늘 말씀 고맙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