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2020 노인실태조사···개인소득·단독가구 증가

KTV 뉴스중심

2020 노인실태조사···개인소득·단독가구 증가

등록일 : 2021.06.07

박천영 앵커>
지난해 우리나라 어르신들의 개인 소득 평균이 1천 5백만 원까지 오르며, 2008년과 비교해 두배 이상 늘어났습니다.
또 어르신 2명 중 1명은 자신의 건강 상태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데요, 2020 노인실태조사 결과, 채효진 기자가 소개합니다.

채효진 기자>
보건복지부가 2020년 노인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먼저 노인 개인 소득은 1천558만 원으로 지난 2008년 7백만 원에서 꾸준히 증가했습니다.

녹취> 양성일 / 보건복지부 1차관
"근로 및 사업소득, 사적연금소득 등이 향상을 보였습니다. 전체적으로 노인의 경제적 자립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65~69세 노인의 경제활동 참여율이 55.1%로 크게 올랐고 노인일자리사업 참여자도 7.9%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자신의 건강상태가 좋다고 응답한 노인은 49.3%에 달했습니다.
평균 1.9개의 만성질병을 가지고 있었는데 고혈압이 가장 높게 나타났습니다.
가구 형태는 노인 단독, 즉 1인 가구나 부부가구가 78.2%로 보편화된 반면, 자녀와의 동거를 희망하는 비율은 12.8%에 그쳤습니다.

녹취> 양성일 / 보건복지부 1차관
"자녀와의 동거를 희망하는 비율도 지속 감소하고 있어 향후 노인 단독가구의 비율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노인 10명 중 8명은 여가문화활동에 참여하고 있으며, 56.4%가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고등학교 졸업 이상 고학력자 비율이 지난 2008년의 2배 수준인 34.3%에 달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노인의 90%는 좋은 죽음, 즉 웰다잉이 가족이나 지인에게 부담을 주지 않는 죽음이라고 생각했고, 85.6%가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반대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삶의 전반에 걸쳐서 매우 만족 또는 만족한다고 응답한 노인은 49.6%였습니다.
특히 지난 2011년 이후 건강상태, 경제상태 만족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영상취재: 유병덕 송기수 / 영상편집: 장현주)
이번 조사는 지난해 3월부터 11월까지 전국 65세 이상 노인 1만97명을 면접했으며 조사신뢰도는 95% 신뢰수준에 ±1%p입니다.

KTV 채효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