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소형 기자>
안녕하세요.
클릭K 플러스입니다.
오미크론 변이가 빠르게 확산하면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데요.
이에 지난 3일부터 오미크론 대응체계가 전국적으로 가동됐습니다.
고위험군만 우선 PCR 검사를 받고, 재택 치료를 받을 수 있게 됐는데요.
코로나19 대응체계, 어떻게 달라졌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전국 선별진료소에서 누구나 받을 수 있었던 PCR 검사.
하지만 앞으로는 고위험군만 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고위험군은 그동안 불렸던 고위험군과는 다릅니다.
우선 고위험군은 만 60세 이상 고령층을 말합니다.
만 60세가 안 됐더라도 확진자와 밀접 접촉했거나 해외에서 입국한 사람도 해당되는데요.
또 의료진이 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거나 감염 취약시설에 근무하는 사람 역시 포함됩니다.
이밖에 PCR 검사를 받으려는 사람은 신속 항원검사를 받는데요.
그 방법은 세 가지입니다.
먼저 '선별검사소'에서 신속항원검사 키트를 받아 검사하는 경우입니다.
관리자가 보는 가운데 스스로 콧속에 면봉을 넣어 검체를 채취합니다.
여기서 양성이 나오면 해당 선별진료소에서 PCR 검사를 받으면 되고 비용은 무료입니다.
다음은 '호흡기전담 클리닉 등' 동네 병원에서 신속항원검사를 받는 경우입니다.
의료진이 전문가용 신속항원검사 키트를 이용해 검사자 콧속 더 깊숙한 곳까지 찔러 검체를 채취합니다.
유증상자는 진료비 5000원을 내면 검사비는 무료인데요.
무증상자는 진료비 5000원에 검사비를 별도로 내야 합니다.
여기서 양성이 나왔다면 먹는 치료제를 그 자리에서 처방받고 곧바로 재택치료에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재택치료 관리도 해당 병원이나 의원에서 하는데요.
재택치료를 하다 증세가 심해지면 KF94 마스크를 착용하는 등 방역수칙을 준수하면서 통원치료도 가능합니다.
녹취> 권덕철 / 중대본 제1차장(2022. 01. 18)
“이들 병의원에서는 진찰과 검사부터 이후 치료까지 가급적 한 기관이 모두를 담당하도록 할 계획입니다. 확진자에 대해 필요시 즉시 먹는 치료제를 처방하고 이후 재택치료까지 실시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검사가 가능한 의료 기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나 코로나19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약국'에서 신속항원검사 키트를 사서 집에서 직접 검사하는 경우입니다.
검사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선 제대로 된 사용법이 중요하겠죠.
멸균 면봉으로 코 안쪽 점막을 오른쪽, 왼쪽 각 10번씩 굴리듯 문지르고, 시약통에 10번 이상 저어야 합니다.
약 10분 후 검사키트에 한 줄이 보이면 음성, 두 줄이면 양성입니다.
단 검사 1시간 전부터 코를 풀면 안 된다는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검사 결과 양성이 나왔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키트를 폐기물 봉투에 넣어 선별진료소로 가져가면 됩니다.
이 때 진료소와 검사소에서 모든 검사 비용은 무료입니다.
백신 미접종자는 선별진료소나 호흡기 클리닉에서 검사를 받았다면 음성 확인서를 발급받아 24시간 방역패스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집에서 스스로 검사했다면 음성이어도 방역패스로 인정받지 못합니다.
그런가 하면 앞으로 재택치료는 60세 이상 등 고위험군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증상이 없거나 가벼운 일반 환자는 전화 점검 대상에서 제외되는데요.
이들은 필요할 때마다 동네 병원 비대면 진료를 받거나 재택 관리 지원센터에서 상담을 받으면 됩니다.
백신 접종을 완료하지 않은 확진자 동거가족은 자가격리 기간이 기존 14일에서 7일로 줄었고요.
자가격리 중에도 의약품이나 식료품 구매 등을 위해서는 외출할 수 있습니다.
오미크론 변이가 걷잡을 수 없이 번지고 있습니다.
백신 접종과 방역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것,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은데요.
나와 가족, 이웃의 건강을 지키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