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환 앵커>
계속해서 다음 주제 살펴보겠습니다.
코로나19가 장기화 되면서 재택근무가 또 다른 근무방식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죠.
하지만 기업 입장에서는 성과관리의 어려움이나 비재택 근무자와의 형평성 등의 문제로 주저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요.
정부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돕고자 재택근무 종합컨설팅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정확하게 어떤 제도인지 어떤 절차를 거쳐야하는지, 고용노동부 고용문화개선정책과 이상임 과장과 자세한 내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과장님, 안녕하세요.
(출연: 이상임 / 고용노동부 고용문화개선정책과장님)
최대환 앵커>
우선, 재택근무는 코로나 이전부터 기업 도입률이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고용노동부 조사에 따르면 재택근무를 도입한 기업들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어떻습니까?
최대환 앵커>
그런데,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기업에서 재택근무를 도입하고 싶어도 도입 방법이나 절차 등을 잘 모르거나 성과관리 같은 게 어렵지는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어서 주저하기도 하는데요.
이에 정부에서는 기업들을 돕기 위해 재택근무 종합 컨설팅 사업을 운영하고 있죠.
어떤 사업인지, 간단하게 소개 부탁드립니다.
최대환 앵커>
‘재택근무 종합컨설팅’ 사업에 참여하는 기업들에게 이와 연관되어서 또 다른 혜택을 볼 수 있는 제도들이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어떤 혜택들이 있나요?
최대환 앵커>
참여 기업들에 대한 추가적인 혜택도 꽤 많은데요.
마지막으로 ‘재택근무 종합 컨설팅’ 사업에 참여하고 싶은 기업들은 어떻게 신청하면 되는 건가요?
최대환 앵커>
네, 재택근무 종합 컨설팅 사업과 관련해서 고용노동부 이상임 과장과 자세한 내용 짚어 봤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