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청와대에서는 주민생활서비스 전달체계 혁신보고회가 열렸습니다.
수요자 중심 맞춤형서비스의 계속 제공함으로써 국민들의 삶의 질은 더욱 향상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오세중 기자>
국민 삶의 질 향상과 관련된 포괄적인 서비스를 고객의 관점에서 전면적으로 재설계하겠다는 취지로 시작한 주민생활서비스 전달체계 혁신 사업.
지난해 7월 시작된 서비스 향상 프로젝트
정부가 해마다 복지관련 정책과 예산을 늘리고 있지만 주민이 느끼는 복지 체감도는 제자리 걸음을 하고 있다는 지적하에 지난해 7월 시작한 대국민 서비스 향상 프로젝트입니다.
정부는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주민생활서비스 전달체계 혁신 사업에 대한 국정보고회를 개최해 지금까지의 성과를 점검하고, 우수사례 발표를 통해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했습니다.
지난해 7월 1단계 사업으로 53개 시군구가 시범지역으로 주민생활전담부서와 상담실을 설치해 통합서비스를 실시했습니다.
올해 1월부터는 2단계로 129개 시군구가 참여했고, 7월부터 3단계 사업으로 50개 시군이 서비스를 시작해 전국적 차원의 본격적인 주민생활 서비스의 전달체계의 개편작업이 진행중에 있습니다.
특히, 전달체계 개편으로 주민들의 행정지원 서비스를 하는데 있어 인터넷이나 시군구, 읍면동의 상담실을 한 번 방문하는 것으로 공공기관과 민간 네트워크를 통해 필요한 서비스를 찾아 연결시켜 주게 돼 주민들이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편리하게 받을 수 있게 됩니다.
또한, 주민생활서비스가 실제로 이뤄지는 지방자치단체에 보다 많은 관심을 갖고, 담당인력의 지속적인 확충과 전문성 강화에도 주력한다는 계획입니다.
한편, 정부는 주민생활 서비스의 제공 방법 자체를 개선하는 이번 사업의 지속적인 추진으로 주민들 삶의 질과 만족도가 대폭 향상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