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위에다 장마까지 겹쳐서 식중독 발생의 우려가 어느 때보다 높아지는 6월입니다.
8개 정부부처가 합동으로 내놓은 식중독 대책과 함께, 예방을 위해 주의해야 할 사항들을 보도합니다.
이해림 기자>
유통 기한이 지난 식품을 보관하다 적발된 경기도의 한 청소년 수련원.
시설을 비위생적으로 관리해 온 근처의 또 다른 수련원도 식품의약품안전청에 적발됐습니다.
식약청이 식중독 예방을 위해 지난 달 전국 청소년 수련원 173곳을 일제 점검했더니, 이처럼 위생에 문제가 있는 업체가 41곳이나 됐습니다.
식중독 위험이 그 만큼 높다는 얘기입니다.
이런 가운데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 식품의약품안전청 등 8개 정부부처가 합동으로 식중독 예방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정부는 우선 범정부식중독협의체를 중심으로 정부 각 부처와 민간단체간의 정보를 공유하고 긴밀한 협조를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또 이달 말까지 유치원과 학교의 급식은 물론 노인과 장애인 등 사회복지 시설의 급식소에 대한 집중적인 지도와 점검을 실시합니다.
특히 지난 달 식중독주의보를 발령하고 비상경계 체제에 들어간 식약청은 식중독 알림서비스를 신청한 국민들에게 발생 장소와 대처 방법 등을 휴대전화 문자메시지로 신속하게 알려주고 있습니다.
또, 식중독 발생 동향과 노로 바이러스 등 오염원에 대한 정보를 관계 기관에 재빨리 전달해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할 계획입니다.
한편 식약청은 국민들 개개인도 손씻기 등 청결 유지에 유의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여기에 냉장 보관했던 식품이라도 다시 데워서 먹고, 식기, 도마 등 주방기구는 자주 소독하는 것이 식중독을 막을 수 있는 기본 수칙입니다.
급식을 하다 설사나 구토 증상이 발생하면 가까운 보건소에 즉시 신고하고, 급식을 중지해야 한다고 식약청은 강조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