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주택 65.3%가 아파트···반지하·옥탑 70% '노후화' [뉴스의 맥]

KTV 대한뉴스 월~금요일 19시 00분

주택 65.3%가 아파트···반지하·옥탑 70% '노후화' [뉴스의 맥]

등록일 : 2025.07.29 20:06

김경호 앵커>
계속해서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취재기자와 더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최유경 기자, 앞서 인구 통계를 살펴봤는데 이번에는 주택 관련 내용도 짚어볼까요?

최유경 기자>
네, 앞선 리포트에서 보신 것처럼 통계청이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 국내 총주택은 1천987만 가구로 집계됐습니다.
앞선 해보다 33만 가구 늘어난 규모고요.
1.7% 증가했습니다.
통계청은 지난해 준공된 주택이 늘어난 영향으로 보고 있습니다.
연평균 주택 증감률은 1995년 5.4%로 정점을 찍고, 이후부터는 둔화하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최근 5년 동안의 평균 증가율은 1.9%입니다.
지난해 주택 증가율은 앞선 해보다 0.3%p 낮아진 겁니다.
주택 종류를 보면, 공동주택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습니다.
아파트와 연립, 다세대를 포함해 공동주택이라고 하는데요.
지난해 국내 주택의 79.6%였고요.
단독주택이 19.3%, 나머지는 비주거용 건물 내 주택이었습니다.
특히 아파트가 전체 주택의 65.3%를 차지했습니다.
앞선 해보다 2.7% 증가했는데, 전체 유형 중에서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난 겁니다.
참고로, 이번 통계에는 주택으로 분류되지 않는 거처, 그러니까 고시원이나 오피스텔 등은 조사 대상에서 빠졌습니다.

김경호 앵커>
이번 조사에선 처음으로 반지하 주택과 이른바 옥탑방에 대한 조사 결과도 포함됐죠.

최유경 기자>
네, 그렇습니다.
통계청은 반지하와 옥탑 전수통계를 올해 등록센서스에서는 처음으로 공표했습니다.
반지하가 있는 주택은 26만 호, 옥탑은 3만4천 호였고요.
전체 주택의 각각 1.3%와 0.2%를 차지했습니다.
이들 주택의 노후화 비율을 짚어볼 만한데요.
반지하가 있는 주택의 67.7%, 그리고 옥탑은 64.5%가 지어진 지 30년이 넘은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반지하 또는 옥탑 주택 열에 일곱은 노후주택인 셈입니다.
또 이들 대부분은 수도권에 몰려있었습니다.
반지하의 97.3%, 옥탑의 90.6%가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에 있었고요.
가구 기준으로, 반지하에 살고 있는 가구는 전체 일반가구의 1.8%, 옥탑 거주 가구는 0.2%를 차지했습니다.

김경호 앵커>
빈집이 계속 늘고 있다는 소식도 자주 접했는데 지난해 조사 결과는 어떻습니까?

최유경 기자>
네, 그렇습니다.
빈집이 더 늘었습니다.
앞선 해보다 6만4천 가구 증가했는데요.
이로써 국내 미거주 주택은 159만9천 가구로, 전체 주택의 8.0%를 차지했습니다.
시도별로 빈집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전남이었습니다.
15.0%로 나타났고요.
제주가 14.2%, 강원과 경북이 각각 12.5%로 뒤를 이었습니다.
또 주택마다 거주하고 있는 사람 수가 줄었는데요.
지난해 주택당 평균 2.6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년 전보다 0.3명 감소한 거고요.
단독주택은 평균 3.4명, 아파트는 2.5명이 거주 중이었습니다.

김경호 앵커>
네 지금까지 주택 통계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최 기자, 잘 들었습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