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세계 1위인 우리 조선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5년간 7천100억 원을 투입합니다.
강민지 앵커>
빠르게 치고 올라오는 중국의 추격을 따돌리고, EU·일본 등과의 미래 선박 기술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겠다는 건데요.
조태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조태영 기자>
올해 전 세계 고부가선의 60%, 친환경선의 45%를 수주하며 글로벌 선박 시장에서 세계 1위를 유지한 K-조선.
그러나 위협 요소도 적지 않습니다.
중국은 올해 벌크선, 중소형 컨테이너선에서 세계 점유율이 70% 이상이고, 중소형 유조선의 시장 점유율은 한국을 추월했습니다.
유럽연합은 스마트 친환경 운송프로젝트에 약 9천436억 원을 투자했고, 일본은 지난해 2월 세계 최초로 액화수소 운반선의 해상운송을 성공한 바 있습니다.
세계 선박 경쟁이 과열되는 상황에서 정부는 조선업의 세계 1위 자리를 지키기 위해 7천억 원이 넘는 예산을 집중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녹취> 추경호 경제부총리
"친환경선박, 자율운항선박 등 차세대 조선시장에서의 주도권 선점을 위해 K-조선산업 차세대 선도 전략을 적극 추진하겠습니다. 정부는 미래 초격차 기술 선점, 제조시스템 고도화 등을 위해 2028년까지 약 7천100억 원을 집중 투입하겠습니다."
먼저 정부는 약 2천억 원을 투입해 LNG, 암모니아, 수소 등 3대 탈탄소 핵심 연료 기술 상용화를 추진합니다.
국제해사기구에서 2050년까지 온실가스의 제로화를 목표하는 등 탄소 배출량이 많은 선박은 퇴출될 수밖에 없는 시장 흐름에 맞춰 탈탄소 기술 확보에 주력한 겁니다.
전화인터뷰> 유병용/ HD한국조선해양 미래기술연구원 상무
"친환경선박 개발은 이제 피할 수 없는 당면 과제이고, 미래의 조선 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합니다. (현 시점에서) 경제성이 부족한 친환경 기술의 경우, 정부의 지원을 통해 더 공격적이고 선제적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먼저 선점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정부의 이러한 정책 발표는 조선소에서 기술 개발을 더욱 가속화하는 데 든든한 힘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아울러 2025년까지 1천6백억 원의 예산 투입을 통해 자율운항기술의 상용화를 실현할 계획입니다.
약 1천5백억 원을 투자해 조선소의 스마트화를 목표로 로봇을 보급하는 등 선박 생산성 30% 상향도 목표합니다.
(영상편집: 오희현 / 영상그래픽: 김민지)
정부는 연간 3천 명 이상의 조선분야 전문가를 양성하고, 해외 연구기관 협력을 통해 공동 기술개발 연구와 실증사업도 수행할 계획입니다.
KTV 조태영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