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최근 정부가 발표한 취재지원시스템 선진화방안에 대해 청와대는 이번 방안은 국제적 표준으로 가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리고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는 언론에 소모적인 논쟁이나 오해를 풀자고 밝혔습니다.

강동원 기자>

청와대가 취재지원시스템 선진화방안에 대한 언론계의 비판에 대해 공식 입장을 밝혔습니다.

취재지원 선진화방안은 지난 2003년에 이미 시행했던 개방형브리핑제의 시행착오를 바로 잡고 제대로 정착시키자는 것.

지난해 여름부터 개방형브리핑제를 점검한 결과 문제점이 발견돼 개선안 마련에 착수했다는 입장입니다.

특히 취재지원시스템 선진화방안은 국제적표준으로 가자는 것이라며 정부부처 사무실을 기자들이 무단으로 출입하는 국가는 세계에 없으며,부처마다 기자실을 두는 나라는 일본을 제외하곤 거의 없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이번 방안은 기자들의 정부 사무실 출입을 막는 것이 아니라 무단 취재 대신 절차를 거쳐 만나게 하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특히 일부 언론에서 사무실 무단 출입이 언론의 자유라고 인식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며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국정에 대한 감시와 견제는 언론의 대의이지만 사무실을 수시로 드나들며 지켜보는 것은 감시나 견제가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

청와대는 또 이번 방안으로 인해 정보차단이 아니라 오히려 정보접근권이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오래되고 힘있는 언론사 뿐 아니라 신생 언론사에게도 공평하게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는 입장입니다.

청와대는 한편 정치권에서 이번 개편안을 두고 문제를 제기 하는 것은 무책임하다고 지적했습니다.

현대판 분서갱유라며 홍보처 폐지를 주장하고, 언론자유 수호를 외치는 것은 정치적 선동이라며, 실제 내용을 잘 파악하지 않고 비판 일변도로 나오는 것에 대해 섭섭함을 나타냈습니다.

청와대는 특히 노무현 대통령이 무조건적으로 언론을 적대시하지 않으며 언론의 역할에 대해 기대가 크다고 밝혔습니다.

실제로 잘못된 보도에 대한 대응보다 언론의 지적을 수용해 국정에 반영한 건수가 훨씬 많다고 밝혔습니다.

청와대는 끝으로 언론에서 제기하는 부실한 브리핑과 미흡한 정보공개 제도등은 조속한 시일내에 보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르면 8월 시행때까지 제도적으로 뒷받침해 나가겠다고 약속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