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편하고 알뜰한 생활 도움 '모바일 앱' 인기

국민리포트 월~금요일 11시 50분

편하고 알뜰한 생활 도움 '모바일 앱' 인기

등록일 : 2024.12.06 13:24

권나현 앵커>
서울 생활을 편하고 알뜰하게 보낼 수 있는 두 가지 앱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공공시설을 쉽게 이용할 수 있고, 문화시설 할인 혜택도 받을 수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 취재했습니다.

이유선 국민기자>
(장소: 구립동작샘터도서관 / 서울시 동작구)

서울 동작구에 위치한 공공도서관.
입구에 모바일 앱인 '서울시민카드' 안내문이 보이는데요.
도서관 카드를 따로 발급받지 않아도 이 앱이 있으면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박세온 / 서울시 동작구
"서울시 공공도서관 여러 곳을 한 앱으로 사용할 수 있어 편해요. 그리고 실물 카드를 가지고 다니지 않을 수 있어서 앱을 잘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이유선 국민기자
"도서관을 방문하기 전에 제가 시민 카드를 발급 받았는데요. 도서관 내부로 들어가 보겠습니다."

보시는 '서울시민카드'로 책을 빌려봤는데요.
무인 대출 시스템에 책을 올려놓고 대여 버튼을 누른 뒤 카드를 대면 가져갈 수 있습니다.
직원을 통해 책을 빌려 갈 수도 있지만 이처럼 '서울시민카드'를 이용하면 편리한데요.
이용하는 시민이 많습니다.

현장음>
"서울시민카드 (앱을) 이용하시네요, 잘 찍혔고요."
"대출됐습니다~"

편리한 모바일 앱은 남녀노소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터뷰> 이초연 / 서울시 동작구
"우리 딸이 서울시민카드 앱을 깔아줘서 쉽게 도서관의 책을 빌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편리한 앱을 이용해 도서관을 이용하는 지역 주민이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문정 / 서울 동작샘터도서관 책임 사서
"서울시민카드 (이용자)는 평일에는 한, 두 분 정도 되시는 것 같고 주말은 더 많이 오세요."

'서울시민카드'를 이용하려면 휴대전화에 앱을 깔아 회원 가입을 하면 되는데요.
생성된 앱 카드로 서울의 다양한 공공시설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용 대상은 시립도서관과 미술관, 25개 자치구에서 운영하는 구립 도서관, 그리고 문화 체육시설과 보육시설 등 모두 8백 30여 곳, 특히 공연부터 전시, 영화까지 다양한 문화시설 입장료를 40%가량 할인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뿐만이 아닙니다.
북 토크나 케이크 원데이클래스 등 서울시에서 이뤄지는 문화 행사를 앱을 통해 무료로 신청할 수도 있습니다.
인기를 끄는 서울시민카드, 지난 2017년 첫선을 보인 뒤 회원 가입자가 꾸준히 늘어 현재 30만 명이 넘습니다.

전화 인터뷰> 류희영 / 서울시 디지털서비스팀장
"서울시민카드는 하루 평균 1만 5천 명 이상 이용하는 서울시의 인기 있는 앱으로서 회원 가입 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며 10월 말 기준으로 약 32만 명이 이용하고 있습니다."

서울시가 2021년에 선보인 모바일 앱인 '서울지갑'도 인기를 끌고 있는데요.
이 앱을 활용해 임산부 카드나 다둥이행복카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청년수당을 비롯해 25가지 자격 확인 서비스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유선 국민기자
"'서울지갑' 앱을 이용해 청년수당을 받을 수 있는지 제가 직접 확인해보겠습니다."

휴대전화에 '서울지갑' 앱을 깔아 회원 가입을 한 뒤 '청년수당' 버튼을 클릭해 봤는데요.
간단한 개인정보를 입력하면 바로 지원 대상이 되는지 여부를 알 수 있습니다.
행정안전부가 운영하는 모바일 민원서비스인 '정부 24'와 연계돼 주민등록등본 등 11가지 전자증명서도 발급할 수 있습니다.
현재 '서울지갑' 가입자 역시 10만 명이나 될 정도로 꾸준히 늘고 있는데요.
스마트한 서울 생활을 돕는 모바일 앱인 서울시민카드와 서울지갑, 하나로 통합하는 계획도 추진되고 있습니다.

전화 인터뷰> 류희영 / 서울시 디지털서비스팀장
"개별 앱을 따로 설치하고 앱마다 회원가입도 각각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서 통합 모바일 서비스에 대한 충분한 테스트와 홍보 안정화 기간을 거쳐 2026년도 1월부터 본격적인 통합 서비스를 할 계획입니다."

내년에는 '서울지갑'을 행정안전부와 연계해 주민등록증이나 운전면허 등 모바일 신분증 발급도 가능하도록 추진되고 있습니다.

(촬영: 장수아 국민기자)

이유선 국민기자
"두 가지 앱을 각각 따로 내려받아야 이용이 가능한 서울지갑과 서울시민카드, 좀 더 편하고 알뜰한 서울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보시면 어떨까요?"

국민리포트 이유선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