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의대 학생 대부분이 등록을 마쳤지만 등록 후 재휴학이나 수업 거부 움직임은 변수로 남아있습니다.
정부는 의대생들을 향해 수업에 참여해 스스로 학습할 권리를 적극 행사할 것을 촉구했는데요.
정유림 기자의 보도입니다.
정유림 기자>
정부가 제시했던 의대 복귀 시한이 마감된 가운데, 전국 주요 의대 학생 대부분이 등록 절차에 들어갔습니다.
관건은 실제 수업 참여 여부입니다.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장소: 3일, 정부서울청사)
정부는 수업을 거부하는 일각의 움직임에 우려를 표하면서, 학생들을 향해 학습권을 놓지 말아달라고 요구했습니다.
녹취> 박민수 / 중대본 제1총괄조정관 (보건복지부 2차관)
"아픈 환자를 치료하는 의사가 되고자 했던 처음 마음을 되새기며 수업에 참여해 스스로 학습할 권리를 적극 행사해 주시기 바랍니다."
지금은 각 대학 수업이 정상 운영되는 것이 중요한 시기라며 정부도 의대교육 정상화가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지속 소통하고 지원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의료개혁과 관련해선 1차방안을 이행 중으로, 추가 대책 또한 논의해 나가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상급종합병원 구조전환 지원사업을 통해 중증 수술 건수가 1만 건 증가했고, 대부분의 기관들이 거점지역응급의료센터 지정 이후 진료 실적이 개선됐다는 점 등을 성과로 꼽았습니다.
한편 복지부는 의대 입학 정원 등을 논할 '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에 대한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후속 조치에 들어간다는 계획입니다.
복지부는 법 시행 전이라도 관련 단체에 위원 추천 사전 안내를 하는 등 위원 위촉에 필요한 절차를 신속하게 착수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수급추계위를 조속히 출범시켜 추계 모형과 방법, 변수 등 전문적 논의가 필요한 사항들에 대해 충분한 논의 시간을 확보한다는 취지입니다.
또 정부 출연연구기관 또는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수급추계센터 지정을 위한 공모 절차도 추진됩니다.
(영상편집: 김예준)
KTV 정유림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