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한 달 동안 민생과 경제 회복에 집중하며 숨가쁜 정상외교도 이어갔습니다.
새 정부 출범 30일을 맞아 첫 성과를 짚어봅니다.
최영은 기자입니다.
최영은 기자>
21대 대통령으로 취임한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첫날부터 민생과 경제 회복에 집중했습니다.
대통령 1호 명령 역시 경제살리기에 초점을 뒀습니다.
녹취> 이재명 대통령 (지난달 4일 취임식)
"민생 회복과 경제 살리기부터 시작하겠습니다. 불황과 일전을 치르는 각오로 비상경제대응TF를 곧바로, 지금 즉시 가동하겠습니다."
민생 안정을 위해 속도감 있는 추경 편성을 지시했고, 약 2주 만에 추경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했습니다.
녹취> 이재명 대통령 (지난달 19일 국무회의)
"국가 재정을 이제 사용할 때 됐습니다. 너무 침체가 심해서 정부의 역할이 필요할 때라는 생각이 들어요. 추경을 좀 더 더해야 되겠다..."
이 대통령은 민생 안정의 핵심은 기업이라며, 기업을 적극 지원하겠단 뜻을 밝히기도 했습니다.
그러면서 경제 단체장과 주요 기업인과의 간담회를 진행했습니다.
녹취> 이재명 대통령 (지난달 13일, 경제단체장·기업인 간담회)
"국민들의 먹고사는 문제, 민생 경제에 집중하려고 합니다. 그 중심엔 여러 경제단체, 주요 기업인들 계시니까 각별히 잘 부탁드립니다."
실용주의 철학을 바탕으로, 정상 외교에도 적극 나섰습니다.
취임 직후 주요국 정상과 연쇄 전화통화를 하며 국정 정상화를 알린 이 대통령은 취임 2주 만에 G7 정상회의에 참석해 각국 정상들과 어깨를 나란히 했습니다.
특히 G7을 계기로 이뤄진 첫 한일 정상회담에서, 양국 셔틀외교 재개 의지를 거듭 확인했습니다.
녹취> 이재명 대통령(지난달 18일, 한일정상회담)
"국제통상환경이나 국제관계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어서 가까운 관계에 있고, 또 보완적 관계에 있는 한국과 일본이 많은 부분에서 협력하면 서로에게 큰 도움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 대통령은 G7 참석이 대한민국 외교의 새로운 도약을 알리는 신호탄이 됐다고 평가하며 향후 정상 외교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단 의지를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박상훈 김정섭 김명신 / 영상편집: 최은석)
최영은 기자 michelle89@korea.kr
다만 미국의 관세 유예 시한이 코앞으로 다가왔고, 방위비 분담금과 주한미군 감축 문제 등이 당면 외교 과제로 놓였습니다.
이르면 이달 말로 관측되는 한미 정상회담 성사로 이 대통령이 과제 해법을 모색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집니다.
KTV 최영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