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지하철 1호선에서 스마트시티까지(다큐 5부)

광복 80년: 「빛나는 시간들 대한민국 영광의 20장면」 화요일 20시 30분

지하철 1호선에서 스마트시티까지(다큐 5부)

등록일 : 2025.08.21 22:25

1968년 12월 서울 도심의 주요 교통수단인 전차가 철거되고 극심한 교통난에 시달리던 서울시는 지하철 건설을 결정한다. 부족한 자금과 기술력을 해외에서 조달하여 최소한의 비용으로 3년여 간 건설해 나간 최초의 지하철. 건설을 직접 담당했던 서울시 지하철공사 관계자들의 생생한 현장의 이야기를 들어본다. 그 속에서 당시 땅을 완전히 파내 공사하는 동안 불편함을 감수해주었던 시민들에 대한 고마운 마음을 전한다. 지하철 시운전을 담당했던 최초의 지하철 1호선 기관사는 당시 지하철 전동차를 수입해오는 과정에서부터 개통식을 했던 날의 상황까지 자세하게 들려준다. 지하철 1호선의 탄생부터 현재 세계적인 지하철 건설 기술을 보유하는 나라가 되기까지, 노력해 온 역사를 되짚어보는 계기가 될 것이다.

1. 프롤로그
- 1950년대 후반부터 1968년까지 전차가 다니던 서울 도심
- 속도가 느렸던 전차를 철거하자, 버스만으로 수용되지 않았던 서울의 인구.
- "새로운 교통수단이 필요하다”라는 데 뜻을 모아 지하철 건설이 결정된다.

2. 지하철 공사 수준점 설치 (1970년)
- ‘종각역’의‘보신각’ 앞이 역사적 장소인 또 하나의 이유.
- 지하철 건설의 시작이 되었던 ‘수준점’을 설치한 곳
- 이것으로 지하철 공사의 측량작업의 기준이 되었음을 확인

3. 시청앞, 화려했던 착공식 (1971년)
- 풍선, 폭죽이 터지며 수많은 인파를 동원한 화려한 ‘지하철 건설 착공식’
- 그만큼 시민들의 기대가 컸다는 것을 보여주는 그 날의 기억
- 하지만 그 이면에는 막대한 비용 때문에 반대의견도 많았던 시기
- 그속에서 ‘종로선’이라는 이름의 지하철 1호선 공사가 시작

4. 개착식 공법을 둘러싼 풍경
- 땅을 다 열고 공사하는 ‘개착식’ 공법으로 서울 시내 거리 풍경 변화
- 공사과정, 인부들의 모습을 모두 지켜보았던 시민들
- 불편함을 감수해준 시민들이 지하철 건설의 숨은 조력자

5. 지하철 첫 운행 (1974년 4월 12일)
- 서울역에서 청량리까지 첫 시운전을 했던 조상호 기관사
- 일본 기술진이 함께 동승하여 시운전했던 날의 생생한 증언
- 성공적인 시운전 후, 수많은 신문보도가 나가며 국민적 기대감 상승

6. 침통했던 개통식 (1974년 8월 15일)
- 성대하게 치러질 예정이었던 지하철 1호선 개통식날 아침의 기억
- 8.15 행사에 참석했던 대통령 내외가 충격적인 피격사건을 당했다는 소식
- 지하철 건설 관계자들이 겪었던 참담한 심정
- 조용한 축하 속에 마무리되었던 지하철 1호선 개통식의 모습

7. 지하철 시대 개막
- 국내 최초 지하철을 탔던 당시 시민들의 기억
- 신발을 벗고 타야하는 것은 아닐까, 생각했을 정도로 신기하고 새로웠던 지하철의 모습
- 지하철로 인해 교통난 극복은 물론 도시의 삶이 변화하기 시작
- 이후 지하철 2호선부터 새로운 지하철 건설이 우리 기술로 진행되기 시작

8. 세대를 뛰어넘은 지하철 1호선 기관사들의 만남
- 지하철 1호선 최초 기관사와 2020년에 지하철 1호선을 운행했던 후배 기관사의 만남
- ‘최초의 지하철 전동차’가 보?돼 있는 신정차량기지를 찾아가는 두 사람
- 50여 년 만에 다시 시운전했던 전동차를 만난 최초의 기관사의 소회
- 일본에서 수입해 왔던 최초의 지하철 모습이 보존돼 있는 모습 자세하게 살펴보는 두 사람
- 현재 지하철 전동차의 모습과 다른 부분들을 통해 긴 세월이 흘렀음을 실감
- 여전히 지하철 1호선 운행이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있는 두 기관사

9. 1974년 지하철 개통의 역사와 함께 한 정비고
- 구로차량기지에 있는 지하철 정비고는 1974년 지하철 개통 당시부터 있었던 역사적인 공간
- 운행을 마친 지하철이 깨끗하게 청소되고 안전하게 정비되는 쉼터와도 같은 곳임을 설명
- 이곳에서 마지막까지 지하철 운행을 준비시키는 ‘입환기관사’들의 역할의 중요성

10. 지하철 1호선과 함께 해 온 대한민국의 역사
- 입환기관사들은 지하철 1호선만 수십 년 운행해 온 최고의 경력자들
- 80년대, 90년대를 거쳐온 지하철 1호선에 관한 기억들을 자세하게 풀어놓는 입환기관사들
- 지하철 1호선의 역사는 대한민국이 발전해 온 역사와 같다는 것을 확인

11. 에필로그 - 지하철이 만들어 온 미래의 길
- 1974년 종로선 9개역으로 시작된 지하철 1호선은 4개 광역시도를 걸쳐 100여 개의 역을 거치는 거대한 네트워크 형성.
- 오늘도 지하철은 시민들의 삶을 실어나르는 길로 존재
- 국내 지하철 건설 기술은 세계적인 기술로 발전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