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G20 정상회의 및 중동 3개국 순방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 국정과제 바로가기
본문

KTV 국민방송

18세 미만 자녀 둔 기혼여성 고용률 '64.3%'···경력단절 감소

생방송 대한민국 2부 월~금요일 16시 30분

18세 미만 자녀 둔 기혼여성 고용률 '64.3%'···경력단절 감소

등록일 : 2025.11.20 17:32

임보라 앵커>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기혼 여성의 고용률이 전년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력단절여성 규모는 줄어들었고, 일·가정 양립 여건이 점차 개선되는 모습입니다.
보도에 신국진 기자입니다.

신국진 기자>
국가데이터처가 올 상반기 기혼여성의 고용현황을 분석한 결과 15~54세 기혼여성은 740만3천 명으로 이 가운데 취업자는 498만4천 명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266만8천 명은 18세 미만 자녀와 함께 사는 취업자로 조사됐습니다.
18세 미만 자녀 동거 기혼여성의 고용률은 64.3%로 전년보다 1.9%P 상승했습니다.
연령대 별로는 45~49세가 67.9%로 가장 높았고, 이어 50~54세, 35~39세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자녀 수가 많을수록, 또 자녀가 어릴수록 고용률 상승 폭도 확대됐습니다.
6세 이하 자녀를 둔 여성의 고용률은 전년보다 2.1%p 상승했습니다.
취업자의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35.3시간으로 전년과 동일했습니다.
특히, 6세 이하 자녀를 둔 여성은 평균 32.1시간 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력단절 여성은 지난해 대비 11만 명 감소했습니다.
올 상반기 경력단절여성은 110만5천 명으로 전체 기혼여성 가운데 경력단절 비율은 14.9%, 1%p 줄었습니다.
경력단절 사유는 육아가 44.3%로 가장 많았고, 결혼, 임신·출산, 가족 돌봄 순이었습니다.
30~39세는 육아와 임신·출산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경력단절 기간은 10년 이상이 42.1%로 가장 많았고, 5~10년 미만이 22.3%로 뒤를 이었습니다.
통계분석 결과 자녀가 많을수록, 그리고 자녀가 어릴수록 경력단절 비율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녹취> 조성중 / 기획재정부 경제분석과장
"고용이란 거는 한 분, 한 분의 그런 전체적인 모습이 예를 들어 괜찮다고 하더라도 고용의 어려움을 겪고 계신 분들은 한 분, 한 분은 또 그 어려움이 무겁게 있는 거기 때문에, 그런 부분들 계속 모니터링하고 또 대응방안도 계속 강구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정부는 이번 조사를 토대로 기혼여성의 경력 유지와 재취업 지원 정책을 더 강화해 나간다는 계획입니다.
(영상편집: 정성헌 / 영상그래픽: 강은희)

KTV 신국진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