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입법과 사법, 행정부 소속 고위공직자 가운데 10명중 8명은 재산이 늘어난 것으로 조사 됐습니다.
이는 최초 재산신고 이후 수년간 누적된 공시가격 증가액이 일시에 반영됐기 때문입니다.
강석민 기자>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가 발표한 고위공직자 재산변동 신고내역에 따르면 공개 대상 1천52명 중 지난 한해 재산이 늘어난 공직자는 86.7 %인 912명입니다.
반면 재산이 줄어든 공직자는 137명으로 전체 13%로 나타났습니다.
912명의 재산 증가 공직자중 1억원 이상 늘어난 사람은 611명으로 58%로 집계 됐습니다.
재산 증가 요인으로는 부동산과 주식, 회원권의 실거래가 반영과 봉급저축, 주식매매 등으로 나타났으며 감소요인으로는 자녀결혼, 교육비, 의료비 주식거래 손실 등으로 조사 됐습니다.
고위공직자들의 재산이 증가 한 것은 올해부터 부동산과 주식 등 주요재산의 거래가 없더라도 부동산는 실거래가, 주식은 현재 시세가 반영 됐기 때문입니다.
종전까지는 부동산의 경우 매매가 없었다면 최초 신고가, 주식은 최초구입가를 기준으로 신고 했었습니다.
한편 국회 공직자윤리위원회도 국회의원 293명의 재산변동 신고내역을 공개했습니다.
신고내역에 따르면 재산이 증가한 의원은 전체의 84.6%인 248명이였고 줄어든 의원은 43명인 14.6%였습니다.
국회 관계자는 신고기준이 실거래가로 변경됨으로써 상장 주식과 아파트 그리고 골프 회원권 등을 보유한 의원들의 재산이 수 억원 단위로 증가 한 경우가 많았다고 전 했습니다.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