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김미정 기자>

불과 5~6년 전만 해도 골목마다 찾아볼 수 있었던 동네 슈퍼마켓. 이제는 눈에 띄게 그 수가 줄었습니다.

대신 대기업에 버금가는 대형 할인점들이 곳곳에 들어섰습니다.

서비스업의 대형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것입니다.

통계청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서비스업에서 종업원이 50명 이상인 사업체 수는 만 7천 248개. 지난 2001년 만 3천 899개보다 24%가 늘었습니다.

반면 종업원이 1명에서 4명까지인 사업체는 전체의 85.8%로 4년 전에 비해 1.2%포인트 줄었습니다.

서비스업의 구조조정과 규모의 대형화로 도소매업은 꾸준히 감소 개인사업체 비중은 증가세가 꺾이고 있다

이 같은 서비스업의 대형화는 사업장의 규모면에서도 여실히 드러납니다.

대표적 서비스 업종인 숙박업과 음식점업의 총 객실 수와 객석 수는 각각 86만 6천실과 천 962만 천석. 2001년에 비해 각각 36.8%, 7.5% 증가했습니다.

전체 서비스업 사업체당 건물면적도 2001년 230.7㎡에서 2005년 252.3㎡로 9.4%가 넓어졌습니다.

이처럼 사업장의 규모가 커진 것은 개인사업보다 법인의 비중이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지난 해 말 서비스 사업체의 형태별 구성 비중은 개인이 86.7%, 회사법인이 6.3%로 나타났습니다.

4년 전과 비교하면 개인사업체 비중은 1.9%포인트 감소한 반면 회사법인은 1.3%포인트 증가했습니다.

정보화의 빠른 확산에 따라 PC 보유 사업체도 큰 폭으로 증가했습니다.

PC를 보유한 사업체 수는 만개로 4년 전에 비해 52% 늘어났고, PC 보유 대수 역시 637만 7천대로 23.3% 증가해 서비스업의 정보화를 여실히 보여줬습니다.

최근 정부가 내놓은 서비스산업 경쟁력 강화대책이 이같은 서비스업의 양적 확대에 질적 향상을 더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 한국정책방송 KTV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저작권자 ⓒ 영상홍보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