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주고받기식 담판 속 섬유·농업 분수령

KTV 국정와이드

주고받기식 담판 속 섬유·농업 분수령

등록일 : 2006.10.27

4차 협상이 주요쟁점들에 대한 합의를 보지 못한 채 마무리됨에 따라 5차 협상에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다음 협상에서는 어떤 쟁점들을 중심으로 어떻게 논의가 진행될지 전망해봤습니다.

기자>

한미 양국 수석대표의 발언을 종합해보면 협상타결의 목표시한은 내년 초로 넘어간 것으로 보입니다.

4차협상의 의의를 찾자면 서로의 속내와 강점, 약점을 낱낱이 떠볼 수 있었다는 것.

이제 오는 12월 미국에서 열리는 5차협상에선 지금까지의 소주제별 협상방식을 넘어 다소 큰 틀에서 핵심 쟁점에 대한 주고받기식 `담판`이 진행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입니다.

5차협상에서 양국에게 서로의 강점이자 민감품목인 섬유와 농산물이 전체 협상을 좌우하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예상되는 이윱니다.

이같은 관점에서 본다면 이번 4차협상에서 논의된 결과는 적잖은 의미를 가집니다.

무엇보다 미국의 맹공이 계속되던 농산물 분야에서 정해진 시기에만 관세를 낮춰 적용하는 `계절관세`를 도입하기로 원칙적 합의를 이룬 것은 상당한 진전입니다.

우리나라는 이미 칠레와의 FTA에서 이를 활용한 사례가 있습니다.

칠레산 포도에 대해 우리나라에서는 포도의 노지재배가 불가능한 동안에만 낮은 관세를 매기는 `계절관세`를 적용해 우리 포도재배 농가를 보호하고 있는 것입니다.

협상의 시기가 내년으로 넘어가는 상황 또한 우리측보다는 미국에게 상대적으로 더 큰 압박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협상단은 TPA, 즉 무역촉진권한법에 따라 갈수록 더욱 시간에 쫓기는 상황이 되지만, 우리로선 연내 타결의 속박에서 벗어나 좀 더 세밀한 전략을 준비할 시간을 벌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제 남은 일은 4차협상이 만들어낸 유.무형의 결과를 분석하고 시기적, 정황적 요소들을 유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전략을 짜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