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BS는 26일 뉴스9에서 “서민 금융 위험 수위”라는 제목으로 제2금융권의 가계 대출이 급증하고 있다고 보도했습니다.

KBS는 상호저축은행과 신협 등 제2금융권의 가계 대출 규모가 지난 2002년 49조원 대에서 올해 89조원 대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고 전했습니다.

하지만 별다른 감독이 이뤄지지 않아서 기관이 부실화될 경우에 서민 신용대란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금융감독원은 KBS의 보도 내용이 사실과 달라서 제2금융권의 가계 대출 실태에 대한 바른 설명이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금융감독원 비은행총괄팀의 김긍렬 팀장 전화연결해서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Q1> 제 2금융권의 가계대출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는 보도가 있었습니다. 사실은 어떻습니까?

A> 상호저축은행, 상호금융기관 및 여전사로 구성되는 비은행금융회사의 가계대출은 2002년이후 연평균 8.2%씩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동 기간중 국내금융기관 전체 가계대출의 연평균증가율 9.5% 및 비은행금융회사 총대출의 연평균증가율 12.0%보다 낮은 수준입니다.

또한 비은행금융회사의 경우에도 LTV·DTI한도 규제 등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리스크관리 강화대책이 적용되는 등 적극적인 감독이 이루어짐에 따라 최근 가계대출 증가율이 크게 둔화되고 있습니다.

Q> KBS는 감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미흡한 감독이 금융기관의 부실을 일으키고 서민 신용대란까지 불러올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에 대한 의견은 어떠신지요?

A> 비은행금융회사의 가계대출 연체율이 최근 지속적인 하락추세를 유지하고 있는 등 건전성이 제고되고 있으며, 비은행금융회사 가계대출의 대부분(89.6%)을 차지하고 있는 상호금융기관의 경우 부실예상대출에 대하여 96.8%만큼 내부적립을 하였기 때문에 손실흡수능력도 충분한 상태입니다.
이와 같이 현재 비은행금융회사의 가계대출 급증에 따른 부실화가능성은 지나친 우려인 것으로 생각합니다.

다만, 감독당국에서는 주택가격 급락 등 상황 악화시에 대비하여 기존 리스크관리 강화 지도내용의 이행을 적극적으로 독려함과 아울러 상시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실시할 예정임을 말씀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