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어제 전격적으로 핵 실험을 감행하자 정부는 노무현 대통령이 즉각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소집하는 등 긴박하게 움직였습니다.
외교와 국방, 통일 등 관계 부처들도 분초를 다퉈 비상체제에 돌입하며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북한 핵 실험에 대한 정부의 신속하면서도 단호한 대응을 정리했습니다.
기자>
9일 오전 10시 35분 지진파 탐지가 보고된 뒤 즉각 열린 국가안전보장회의에서정부는 북한의 핵 실험에 대해 철저하고 단호한 조치를 취하겠다는 성명을 발표합니다.
성명에서 정부는 북의 행위가 결코 용납할 수 없는 도발적 행위임을 지적하고 국제사회와의 공조를 통해 대응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합니다.
또 여야 지도자들과 사회 각계의 의견을 수렴해 국내외적으로 조율된 조처를 취하겠다는 입장도 밝혔습니다.
아울러 우리 군의 대응태세가 굳건함을 강조하며 북의 오판을 경고했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은 남북 관계가 북의 핵 실험이후에도 같을 수는 없다는 말로
대북 정책의 변화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무조건적인 포용 보다는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협의를 통해 전략적으로 대응하겠다는 겁니다.
이에 따라 한일 정상회담에 이어 부시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갖고 유엔 차원의 조치를 포함해 우방국들과 공조하며 문제를 풀어 나가기로 합의합니다.
여야 지도자 및 전직 대통령들을 초청해 의견을 듣고 국가적 위기상황을 맞아 내부 결속을 통해 외부의 위협을 돌파하겠다는 각오도 다집니다.
이 같은 기조 아래 관계 부처들도 신속하면서도 일관된 대응 방안을 마련했습니다.
외교통상부는 반기문 장관이 콘돌리자 라이스 미국 국무장관과 아소 다로 일본 외상과 전화회의를 갖고, 유엔 안보리가 필요한 조치를 즉각 취하길 바란다며 북한 핵실험에 대한 단호한 입장을 전달했습니다.
유명환 제1차관을 단장으로 한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미국과 일본 외교 당국자들과 연쇄 접촉하며 3국 공동의 대응방안도 마련합니다.
국방부는 즉각 위기 조치반을 가동하고 전군에 경계 태세 강화를 지시하는 등 행여 있을지 모를 북의 도발에 대비한 만반의 준비를 갖췄습니다.
전군 주요지휘관 회의를 열어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북의 도발을 막을 수 있도록 대비태세를 강화하겠다는 결의도 다집니다.
통일부는 북한의 핵실험 직후 즉각 대북 지원 물자 수송을 중단시키는 등 달라진 상황에 따른 우리 정부의 대응을 실천에 옮겼습니다.
하지만 포용정책은 계속 진행할 것임을 밝혀 대화의 장은 열어 놓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습니다.
정부는 이처럼 노무현 대통령이 기자회견에서 밝힌 단호하면서도 차분하고 전략적으로 잘 조율된 조치를 하나하나 실행에 옮기고 있습니다.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공조와 국민들의 적극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위기를 슬기롭게 해결하기 위해 혼신의 힘을 다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