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북한 핵실험 후의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정부의 움직임이 신속하게 진행되고 있는데요.

외교통상부는 유명환 제1차관을 팀장으로 하는 TF팀을 꾸리고 유엔 안보리의 대북결의안 대책 논의에 들어갔습니다.

기자>

외교통상부는 10일 오전, 북한 핵실험과 관련한 태스크 포스팀을 구성해 회의를 갖고, 문제해결을 위한 작업에 본격 돌입했습니다.

유명환 외교부 제1차관을 팀장으로 하는 TF팀은 천영우 한반도 평화교섭본부장과 윤병세 차관보 등 실무급 8명으로 구성됐습니다.

외교부는 우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어떤 논의가 있었는지 동향을 파악하면서 우리 정부의 정책을 조율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외교부는 또 유엔 안보리가 유엔 헌장 7장을 원용한 결의를 채택할 경우기본적으로는 헌장 제7장을 원용하는 것에 반대하지 않는다는 방향으로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하지만, 헌장 제7장을 원용하되 군사 제재로 가는 것에 대해선 반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실제로 제7장을 원용한다고 해서 즉각 군사적인 조치로 가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결의가 필요합니다.

한편 중국의 우다웨이 6자회담 수석대표를 만나고 귀국한 천영우 우리측 수석대표는 중국이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 중대한 도발로 간주하고 있으며,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 양국이 노력하자는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전했습니다.

반기문 장관도 이에 앞서 북한의 핵실험이 유엔 안보리 결의안 1695호를 정면으로 도전하는 위협임을 경고한 바 있습니다.

정부는 추가적인 핵실험 가능성에 대해 아직 추가적인 징후는 보이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