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국민리포트
-
청와대서 만나는 근현대 문인들의 숨결
김채원 앵커>
청와대가 개방된 지 어느새 7개월이 지났는데요.
근현대 문인들의 대표 작품을 선보인 특별한 전시가 청와대 춘추관에서 열렸습니다.
과거 청와대 주변에서 활동하던 작가들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데요.
정수연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정수연 국민기자>
(청와대 / 서울시 종로구)
지난 5월, 국민의 품으로 돌아온 청와대.
산과 고궁...
-
한국의 산하, 다이어리 속 사진 40년
김채원 앵커>
2023년 새해 달력이나 주력, 준비하셨나요?
이런 다이어리에는 자연 사진이 많이 들어가는데요.
지난 40년 동안 한국의 산하를 담아온 탁상용 주력이 있습니다.
40년이란 긴 세월동안 주력에는 어떤 자연이 담겼을까요?
고동준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고동준 국민기자>
(경운미술관 / 서울시 종로구)
2023년 책상용 다이어리...
-
'희망 나눔 캠페인' 소외된 이웃과 함께
김채원 앵커>
올 한 해도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매서운 추위가 몰아치는 거리에 '사랑의 온도탑'이 설치됐는데요.
온도탑의 수은주를 끌어올리기 위해 다양한 모금활동이 펼쳐지고 있습니다.
그 현장을 오옥순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오옥순 국민기자>
(금촌역 / 경기도 파주시)
파주 금촌역 앞에 설치된 사랑의 온도탑.
목표액을 100도로 놓고...
-
광화문 광장 '빛 축제' 연말 분위기 더해
김채원 앵커>
어느덧 올 한해도 저물어가는데요.
대한민국의 중심인 광화문 광장에서는 연말 분위기를 더하는 화려한 '빛 축제'가 펼쳐지고 있습니다.
복주머니를 든 대형 토끼등부터 건물 외벽을 장식한 미디어 아트까지 시민들의 시선을 사로잡는 현장을, 최유경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최유경 국민기자>
(서울 빛초롱 축제)
(광화문 광장 / 서울시 ...
-
취·창업허브센터, 창업과 일자리 도와요
김채원 앵커>
요즘 취업 고민하는 청년들 많죠?
청년 취업과 창업의 고민을 해결해주고 도와주는 곳이 있습니다.
메타버스로 체험하는 청년 취업·창업 현장을 오지민 국민기자가 찾아가봤습니다.
오지민 국민기자>
(강남 취·창업허브센터 / 서울시 강남구)
벤처·스타트업 특화 거리에 자리 잡은 취·창업허브센터.
안으로 들어가자 메타버스 체험 가상 세...
-
마지막 궁중잔치 '임인진연' 재현
김채원 앵커>
대한제국 시절인 지난 1902년, 고종 황제 즉위 40주년을 기념하는 궁중잔치가 열렸는데요.
'임인진연'으로 불리는 이 잔치는 조선왕조와 대한제국의 마지막 궁중잔치입니다.
120년만에 공연으로 재현돼 눈길을 끌었는데요.
그 현장을 박수민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박수민 국민기자>
(국립국악원 예악당 / 서울시 서초구)
해금을 ...
-
삼중고 속 독일 성탄장터, 일상 회복 기원
김나연 앵커>
천년의 전통을 자랑하는 독일 크리스마스 마켓은 세계적으로도 유명한데요.
마스크 착용 의무가 해제되고 모임 제한이 없어지면서 성탄장터에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졌습니다.
하지만 고물가와 에너지 위기 탓에 분위기는 예전 같지 않았는데요.
독일의 크리스마스 장터와 연말 분위기를 김운경 글로벌 국민기자가 전합니다.
김운경 국민기자>
(비스...
-
추위 속 스키장 활짝, 외국인 관광 재개
김나연 앵커>
강원도 스키장들이 인파로 북적이고 있습니다.
한파와 폭설로 불편이 이어지고 있지만, 스키장은 제철을 만났는데요.
3년 만에 외국인 단체 관광객도 돌아왔습니다.
그 현장을 이기태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이기태 국민기자>
('ㅇ' 스키장 / 강원도 평창군)
은빛 설원 위로 리프트가 분주하게 오가고 형형색색의 스키어들이 눈밭을 내...
-
농업의 역사 배우는 국립농업박물관 개관
김나연 앵커>
산업화가 되기 전 우리나라는 농업에 의존해 살았는데요.
농업문화유산을 한자리에서 보고 체험도 할 수 있는 국립농업박물관이 수원에서 문을 열었습니다.
농업을 장려했던 조선 정조대왕의 발자취가 남아있는 이곳을 최윤하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최윤하 국민기자>
(축만제)
1799년 정조대왕이 농업을 장려하기 위해 수원에 축조한 대규모...
-
동지팥죽 새알심 만들며 세시풍속 체험
김나연 앵커>
2023년 새해가 바짝 다가왔는데요.
예로부터 우리 선조들은 한겨울 이맘때 동지팥죽을 쑤어 먹으며 새해 좋은 일이 있기를 빌었습니다.
동지팥죽 새알심을 만들어보는 정겨운 민속풍습 체험 현장을, 김남순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김남순 국민기자>
(전라남도농업박물관 / 전남 영암군)
너른 들판에도, 또, 가정집 장독대에도 소복하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