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국민리포트
-
한겨울 속 무등산 고드름 진풍경 연출
배유정 앵커>
예전 이맘때 처마 밑에 매달린 고드름을 따서 놀던 추억, 생각나시나요?
무등산 국립공원에는 한파 속에 내린 폭설로 거대한 고드름이 열려 장관을 연출하고 있습니다.
그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최찬규 국민기자>
(무등산국립공원 / 광주시 북구)
멋진 설경을 이룬 국립공원 무등산, 새해를 맞아 등산객들이 새로운 정기를 받기 위해 눈...
-
나이 잊은 열정의 무대, 90대 할머니 배우
배유정 앵커>
100세 시대라고 불리는 요즘, 이를 실감나게 하는 무대가 있습니다.
아흔 넘은 어르신 배우의 연극 이야기인데요.
8년째 이어지고 있는 열정의 무대 현장을 전해드립니다.
박선미 국민기자>
(성민종합사회복지관 / 서울시 관악구)
연극 준비에 한창인 어르신 배우들.
서로 주고받는 대화에 삶의 무게와 연륜이 느껴집니다.
현장음...
-
희망 키우는 청년 농부, 농촌에 새바람
배유정 앵커>
농촌에서 기회를 찾는 청년 농부들이 있습니다.
이들은 고령화로 활력을 잃어가는 농촌에 새바람을 불어넣고 있는데요.
꿈을 키우고 있는 청년 농부를 만나봤습니다.
장진아 국민기자>
(세종시 전동면)
눈이 소복이 쌓인 사이로 커다란 온실이 들어서 있습니다.
매일 아침 7시가 되면 문이 활짝 열리는 이곳은 12년 차 청년 농부의 일터...
-
겨울의 낭만 부활 공주 군밤축제 성황
배유정 앵커>
한겨울 이맘때 군밤은 간식거리로 최고였는데요.
공주 군밤축제가 3년 만에 부활해 군밤을 만들어먹는 체험이 펼쳐졌습니다.
그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박혜란 국민기자>
(고맛나루장터 / 충남 공주시)
(겨울공주 군밤축제)
이글거리며 타오르는 장작불, 대형화로에 밤을 굽는 체험인데요.
긴 막대기에 달린 그물망에 알밤을 넣어 군밤을 ...
-
미국 살리나스, 농업·관광 도시로 성장
배유정 앵커>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한 도시 '살리나스'는 '분노의 포도'로 노벨상을 받은 존 스타인벡의 고향인데요.
지역 주민들이 스타인벡 작품의 배경이란 점을 활용해 작은 도시를 관광지로 성장시켰습니다.
그 현장을 전해드립니다.
마숙종 국민기자>
(살리나스 / 미국 캘리포니아주)
현장음>
“살리나스 들어가는 길~”
샌프란시스코...
-
향수 달래요, 파독 간호사 선후배 한자리에
배유정 앵커>
일선에서 물러난 파독 간호사를 위한 잔치가 독일 비스바덴에서 열렸습니다.
3년 만에 한자리에 모인 선후배 간호사들은 즐거운 시간을 보냈는데요.
그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김운경 국민기자>
(독일 비스바덴)
19살에 독일에 와 50여 년을 간호사로 산 김선남 씨.
비스바덴 한인간호사회 부회장인 김 씨는 일흔 넘은 나이지만 낯선 타...
-
치매 예방해요, 100세 마당 추가 조성
배유정 앵커>
건강한 100세 시대는 두뇌 건강에 달렸는데요.
서울시가 동네에서 치매를 예방하는 100세 마당을 만들었습니다.
자세한 내용 전해드립니다.
오도연 국민기자>
(송파노인종합복지관 / 서울시 송파구)
복지관 앞을 지나던 어르신이 사방치기 놀이판 위를 건넙니다.
생각만큼 몸은 잘 따라주지 않아도 동심으로 돌아간 듯 즐겁습니다.
입...
-
새해 청년 자립·일자리 지원 정책 확대
배유정 앵커>
정부가 올해 '청년도약계좌' 제도를 새로 도입하는 등 청년 지원을 확대하는데요.
눈여겨볼 만한 청년지원 정책을, 취재했습니다.
최유경 국민기자>
(서울시 서대문구)
2023년 새해를 맞아 청년들이 가장 바라는 것은 무엇일까요?
이곳은 서울의 한 대학가 거리, 취재진이 오가는 청년들에게 새해 소망을 직접 써보도록 하는 설문조사를 ...
-
토끼띠 새해 맞아 토끼 세화전 눈길 끌어
박수민 앵커>
과거 조선시대에 한 해가 시작되는 새해를 축하하면서 그린 그림을 '세화'라고 불렀는데요.
토끼띠 새해를 맞아 토끼를 주제로 한 세화전이 광주의 한 미술관에서 열렸습니다.
우리 전통 민화부터 독일 작가의 그림까지 국내외 작품을 만날 수 있는데요.
김남순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김남순 국민기자>
( 암미술관 / 광주시 동구)
...
-
코로나 규제 완화 속 일본 여행객 급증
박수민 앵커>
요즘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 규제가 완화되면서 해외여행을 떠나는 사람이 늘고 있는데요.
특히 이웃나라 일본 여행객이 많은 가운데 항공권 가격이 크게 뛴 상태입니다.
정상을 되찾아가는 일본 여행 실태와 함께 주의할 점은 없는지, 이승민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이승민 국민기자>
(김포국제공항 / 서울시 강서구)
하늘길이 하나둘 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