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국민리포트
-
새해 청년 자립·일자리 지원 정책 확대
배유정 앵커>
새해에는 '고용 한파'가 예상되는 만큼 청년들의 어려움이 우려되는데요.
정부가 올해 '청년도약계좌' 제도를 새로 도입하고, 구직 단념 청년들을 위한 기업 장려금 확대 등 청년 지원을 확대합니다.
눈여겨볼 만한 새해 청년지원 정책을, 최유경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최유경 국민기자>
(서울시 서대문구)
2023년 새해를 맞아 청년...
-
난방 공급 시설, 문화 에너지 펌프로 탈바꿈
배유정 앵커>
오래된 시설의 재탄생, 시대와 장르의 벽을 허문 융합.
이런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서울대학교 관악캠퍼스에 이를 실현하는 공간이 탄생했는데 학교 건물에 전력과 난방을 공급하던 옛 시설이 학교와 사회를 융합하는 문화 에너지 펌프로 변신했습니다.
오옥순 국민기자가 소개합니다.
오옥순 국민기자>
(서울대 제1파워플랜트 ...
-
양육 지원 강화 '제4차 중장기 보육 기본계획’ [정책인터뷰]
배유정 앵커>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해마다 계속 떨어지면서 OECD 국가 가운데 가장 낮은 실정인데요.
무엇보다 양육비 부담이 가장 큰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새해부터 부모급여를 지급하는 등 보육 정책을 대폭 강화했는데요.
정책인터뷰, 김세진 국민기자가 보건복지부 관계자를 만나 알아봤습니다.
(출연: 유보영 과장 / 보건복지...
-
영호남 화합 기원, 예술 교류전 눈길 끌어
배유정 앵커>
언제부턴가 영호남 화합을 기원하는 목소리가 우리 사회에서 확산돼왔는데요.
광주와 대구의 미술작가 10여 명이 영호남 예술교류에 뜻을 모아 공동 전시회를 열었습니다.
그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최찬규 국민기자>
같이&가치
(장소: 'ㄱ' 전시관 / 광주시 서구)
인구 230여만 명인 달구벌 도시 대구, 그리고 인구 1...
-
제주 할머니, 그림 배워 집집마다 전시
배유정 앵커>
뒤늦게 그림을 배워 전시회를 연 어르신들이 있습니다.
제주에 사는 8, 90대 할머니 아홉 분이 바로 그 주인공인데요.
그림을 그리고 나면 해방감을 맛보신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 전해드립니다.
박혜란 국민기자>
(제주시 조천읍)
제주의 한 농촌마을, 이곳에 사시는 오가자 할머니가 집으로 들어가는 입구 벽에 편백나무를 ...
-
인천공항서 즐기는 신기술 융합 K-콘텐츠
배유정 앵커>
하루 여행객이 10만명이 넘는 인천국제공항에 미디어를 통해 우리 문화를 입체적으로 만나는 전시관이 문을 열었습니다.
'생생한 공간'이란 의미의 비비드 스페이스를 소개해드립니다.
박길현 국민기자>
비비드 스페이스
(장소: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 / 인천시 중구 )
인천공항을 통해 입국하는 세계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
새해 첫날 치고 달린다, 질롱 코리아 야구팀
배유정 앵커>
호주에서 2023년 시즌의 첫 시동을 걸며 꿈을 키우는 한국인 선수들이 있습니다.
더운 날씨에도 치고, 달리는 질롱코리아 야구팀 선수들을 만나봤습니다.
윤영철 국민기자>
(호주 질롱 베이스볼 파크 / 호주 질롱)
한 겨울인 한국과는 달리 낮 기온이 35도까지 올라가는 호주 빅토리아주의 한 야구장.
홈팀 질롱 코리아와...
-
6월부터 만 나이 통일, 긍정적 기대감 커져
배유정 앵커>
올해 6월부터 법적, 사회적인 나이 계산법이 '만 나이' 하나로 바뀌는데요.
'만 나이'로 통일됨에 따라 예상되는 기대 효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자세한 내용 전해드립니다.
문그린 국민기자>
외국과는 나이 계산법이 다른 우리나라, 자신을 소개할 때 나이를 어떻게 이야기할지 머뭇거릴 때가 많은데요.
오는 6월부터는 '만...
-
평창 '발왕산' 기 받고 설경 감상해요
배유정 앵커>
발왕산은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알파인 스키대회가 치러졌던 곳인데요.
백두대간이 눈 앞에 펼쳐지는 발왕산 정상에 사람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 현장을 전해드립니다.
이기태 국민기자>
(발왕산 / 강원도 평창군)
발왕산 정상으로 가는 케이블카입니다.
정상까지는 3.7km. 유리창 밖으로 은빛 자연이 한눈에 ...
-
도로 달리는 자율주행버스 국내 첫 운행
배유정 앵커>
자율주행버스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세종시와 충북 오송역 사이에서 운행되고 있습니다.
안전요원이 탑승해 비상 상황에 대비하고 있는데요.
자세한 내용 전해드립니다.
신호정 국민기자>
(세종시외버스터미널 / 세종시 대평동)
이곳은 세종시외버스터미널, 사전에 예약한 사람들이 자율주행버스를 탑니다.
현장음>
"QR코드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