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국민리포트
-
대학생들이 만든 '휠체어 지도' 관심 끌어
박은지 앵커>
최근 서울 지하철역에서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한 시위가 벌어지고 있는데요.
장애인에 대한 장벽을 없앤다는 목표로 특별한 '휠체어 지도'를 만든 대학생들이 있습니다.
대학교 주변 상점 8백여 곳을 꼼꼼히 조사해 만들었는데요.
최유경 국민기자가 취재했습니다.
최유경 국민기자>
장애인 이동권을 보장해달라는 시위가 이어졌던 서울 주요...
-
"잊지 마세요!" 이달 말까지 근로·자녀장려금 신청 [정책인터뷰]
박은지 앵커>
일하는 저소득 가구를 위해 올해도 근로장려금과 자녀장려금을 지원합니다.
근로장려금은 지난해보다 가구 유형별로 총소득 기준 금액이 2백만원씩 상향 지원되는데요.
이달 말까지 국세청에 신청해야 받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 김세진 국민기자가 국세청 관계자를 만나 알아봤습니다.
(출연: 강승윤 과장 / 국세청 장려세제신청과)
...
-
어려운 이웃 돕는 청소년 '선한 봉사' 잇따라
박은지 앵커>
몸이 불편한 이웃을 찾아가 쌓인 폐기물을 치우며 집 정리 봉사활동을 하는 청소년들이 있습니다.
목포에서 펼쳐진 중고등학생들의 훈훈한 봉사 현장에 김남순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김남순 국민기자>
목포의 산비탈에 있는 한 주택가, 좁은 골목길을 따라 한참 들어가면 막다른 집이 나오는데요.
마당에 깨진 플라스틱을 비롯해 스티로폼, 건...
-
"건강하게 사세요" 이웃의 정이 담긴 수연례
박은지 앵커>
가정의 달을 맞아 한 아파트 단지에서 특별한 잔치가 열렸습니다.
부녀회원들이 단지 내 어르신들의 생신을 축하하는 의례인 수연례를 준비한 건데요.
이웃 간 정이 넘치는 잔치에 박찬덕 국민기자가 다녀왔습니다.
박찬덕 국민기자>
(동백아파트 / 경기도 의왕시)
특별한 나들이에 아흔 넘은 어르신의 마음이 바쁩니다.
화장대 앞에서 매무...
-
관심 끄는 '용산 역사박물관' 관람객 늘어
박은지 앵커>
새 정부의 대통령 집무실이 서울 용산에 둥지를 틀었는데요.
이를 계기로 용산 지역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얼마 전 새로 문을 연 용산 역사박물관에도 관람객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는데요.
그 현장, 취재했습니다.
최신영 국민기자>
(용산역사박물관 (국가등록문화재 제428호) / 서울시 용산구)
서울 용산역을 마주한 ...
-
3년 만의 대학 축제 '캠퍼스 낭만' 부활
박은지 앵커>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로 일상 회복이 본격화되고 있는데요.
대학가에는 3년 만에 축제가 펼쳐져 캠퍼스의 낭만을 물씬 풍기고 있습니다.
이 소식과 함께, 따뜻한 봄, 5월의 대표 축제라고 할 수 있는 '서울장미축제'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최유경 국민기자>
(한성대학교 / 서울시 성북구)
오랜만에 생기가 넘치는 서울의 ...
-
'일상으로의 초대' 서울장미축제 재개
권유진 국민기자>
(2022 서울 장미축제 / 서울시 중랑구 장미공원)
화사한 장미꽃이 사람들을 반깁니다.
붉은 장미부터 노란 장미, 그리고 하얀 장미까지.
여기저기 탐스럽게 피어올랐는데요.
화창한 날씨 속에 서울 중랑구에서 열린 장미 축제, 아름다운 장미꽃의 매력에 이곳을 찾은 많은 사람이 푹 빠졌는데요.
가족들과 기념사진을 찍으며 ...
-
다문화가정 40가구, 행복 가득 '가족사진' 찍어요
박은지 앵커>
가정의 달을 맞아 가족의 의미를 되새기는 행사가 곳곳에서 펼쳐지고 있는데요.
강원도 평창군에서는 다문화 가정을 위해 가족사진을 촬영해줘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이 소식과 함께, 호주 빅토리아주에서 3년 만에 교민 어르신들을 위한 효 잔치가 열렸는데요.
가슴 따뜻한 현장의 모습, 전해드립니다.
이기태 국민기자>
베트남 음식점...
-
호주 빅토리아주 '효 잔치' 교민 어르신 웃음꽃 활짝
윤영철 국민기자>
호주 빅토리아주 한인회관이 모처럼 시끌벅적합니다.
곱게 단장한 어르신들이 차례로 도착하고 악수 대신 하이파이브와 경례로 인사를 하고 안부를 묻습니다.
효 잔치에는 빅토리아주에 사는 50여 명의 어르신이 참여했는데요.
한인회 임원들은 어버이날 노래로 은혜에 감사하고 공경하는 마음을 전합니다.
현장음>
"낳으실 제 괴...
-
편리해진 버스 승하차 "교통 카드 찍지 말고 타세요"
박은지 앵커>
사회 각 분야에 비대면 결제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는데요.
경기도에서 교통카드를 대지 않아도 버스 요금이 결제되는 서비스를 도입했다고 합니다 교통카드가 필요 없는 버스, 소개해드립니다.
김숙이 국민기자>
(의정부~잠실 간 광역교통버스)
버스에 오른 승객이 단말기에 교통 카드를 대지 않고 자리로 갑니다.
현장음>
"안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