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메뉴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국가기념식 모아보기
본문

KTV 국민방송

유기견 증가 속 입양문화 개선 목소리 커져

국민리포트 금요일 11시 40분

유기견 증가 속 입양문화 개선 목소리 커져

등록일 : 2021.07.30

이현지 국민기자>
(경기도 안양시)

반려견 까미와 함께 생활하는 김평숙 씨, 12살 된 까미는 원래 유기견이었는데요.
첫 주인이 잠시 맡기고 간 뒤 찾아가지 않아 함께 산 지 어느새 7년 남짓.
김 씨에게는 더없이 소중한 가족과도 같은 존재입니다.

인터뷰> 김평숙 / 유기견 '까미' 입양
“가족같이 한 식구가 되어서 살고 있어요. 가족을 어떻게 버리나요. 부모가 자식을 버릴 수 없잖아요.”

(경기도 용인시)

6개월 전 동물보호소를 통해 유기견이었던 사랑이를 입양한 오사라 씨, 사람에게 학대를 받다 구조된 사랑이를 정성껏 키우고 있는데요.
오 씨는 지난 상처를 잊고 밝게 뛰놀기를 바랄 뿐입니다.

인터뷰> 오사라 / 유기견 '사랑이' 입양
“(사랑이가) 임시보호를 받던 아이였던 거예요. 눈빛이 잊히지 않아서 (입양을) 빨리 결정을 하게 되었어요.”

오 씨 가족 모두 사랑이를 집안에 활기를 돋우는 사랑스러운 막내로 생각하는데요.
사람에게서 받은 상처로 분리 불안이 있지만 집에서 없어서는 안 될 존재감을 뽐냅니다.

인터뷰> 김태우 / 초등학생
“학교를 마치면 사랑이를 보러 빨리 오고 싶어요.”

('S' 동물병원 / 경기도 안양시)

동물보호단체가 '사지 말고 입양하세요'라는 구호를 내거는가 하면 애완동물이라는 명칭도 반려동물로 바꾸었는데요.
동물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면서 반려동물을 원하는 사람들이 유기동물을 입양하는 사례도 늘고 있습니다.

인터뷰> 황범태 / 'S' 동물병원장
“정치인이나 연예인 같은 유명 인사들의 유기견 입양 보도, 정부와 지자체 각종 단체의 유기견 입양 캠페인이 유기동물 입양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데 기여했다고 봅니다.”

(사진제공: 한국유기동물보호협회)

하지만 입양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유기동물이 줄지 않는 게 문제인데요.
농림축산검역본부에 따르면 지난해 유실 또는 유기된 동물은 무려 13만 마리,
이 가운데 입양되는 동물은 30%에 그치고 있습니다.
문제는 펫샵에서 반려동물을 누구나 쉽게 돈을 주고 데려갈 수 있다는 점, 동물보호단체는 펫샵에서 쉽게 데려간 만큼 쉽게 버리는 사례가 많아 유기동물이 줄지 않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인터뷰> 정민호 / 한국유기동물보호협회 홍보이사
“유기동물이 발생하는 가장 큰 원인은 무분별한 분양시스템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펫샵에서 전시하는 귀여운 모습만 보고 데려오면 파양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동물단체는 입양하는 방식에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동물의 특성을 이해하고 적절한 훈련을 시킬 수 있도록 철저한 사전 교육을 받게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인터뷰> 정민호 / 한국유기동물보호협회 홍보이사
“입양하기 전에는 가족으로 맞이하고자 하는 강아지의 특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애완동물이 아니라 반려동물이고 가족으로 맞이하는 것이기 때문에 과거보다 훨씬 더 까다롭고 엄격한 기준을 통해 동물을 입양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만들고 제도화해야 합니다.”

임시 보호 형태로 유기동물과 한 달 정도 함께 살아보면서 충분한 교감을 나눈 뒤 입양을 허락해야 한다는 게 동물보호단체 지적입니다.
최근 법무부가 동물을 물건이 아니라 법적 지위를 인정하는 쪽으로 입법 예고한 상태.
반려동물이 생명체로 보호받을 수 있도록 민법 개정이 추진되고 있는데요.

(촬영: 박성애 국민기자)

무분별한 입양으로 인한 동물 학대와 유기 행위에 대한 처벌이 강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제 더 이상 동물은 물건이 아니라는 취지로 법 개정이 이뤄질 텐데요.
사람과 유기동물의 행복한 공존을 위해 무한한 책임의식을 갖는 입양 문화가 하루빨리 뿌리내리길 기대해봅니다.

국민리포트 이현지입니다.



( KTV 국민방송 케이블방송, 위성방송 ch164, www.ktv.go.kr )
< ⓒ 한국정책방송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